齋 ( 재 ) 齋 ( 재 ) 재의 어원은 범어 upavasatha에서 비롯되었고, 이를 번역하여 재라 하게 된 것이다. 어원상으로 볼 때 재의 의미는 승려의 식사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나, 이것이 전용되어 승려에게 식사를 공양하는 의식, 또는 그와 같은 의식을 중심으로 한 법회를 뜻하게 되었다. 다른 한편 상사(.. 불교용어해설 2014.03.03
祭祀 제사 祭祀 / 제사 그 기원과 형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대략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원시·고대인들은 우주 자연의 모든 현상과 변화에 대해 경이로움을 느꼈을 것이며, 특히 천재지변을 겪을 때는 공포감을 품게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초월자 또는 절대자를 상정하고 .. 불교용어해설 2014.03.03
천도재 薦度齋 / 천도재 천거할 천, 법도 도, 가지런할 재 죽은이의 영혼을 극락으로 보내기 위해 치르는 불교의식. <불교> 죽은 사람의 넋이 정토나 천상에 나도록 기원하는 일. 불보살에게 재(齋)를 올리고 독경, 시식(施食) 따위를 한다. 가장 잘 알려진 것이 49재이고 그 밖에도 100일재·소.. 불교용어해설 2014.03.03
진언 = 呪 = 만트라 = 다라니 진언(呪) / [ mantra , 眞言 ] / 산스크리트어 => ‘만트라’ 석가의 깨달음이나 서원(誓願)을 나타내는 말로서, 불교에서 진실하여 거짓이 없는 신주(神呪). 주(呪)· 신주(神呪)· 밀주(密呪)· 밀언(密言) 등으로도 번역한다. '만트라'는 사고의 도구, 즉 언어를 의미하며, 나아가서는 신들.. 불교용어해설 2014.03.03
총림사찰, 山林 叢林 <불교> 많은 승려가 모여 수행하는 곳을 통틀어 이르는 말. 선원(禪院), 강원(講院), 율원(律院) 따위가 이에 속한다. -> 2013년에 3개 총림이 추가되었음. 쌍계사, 범어사, 동화사( 2013년 신임종정 ) 이다. 山林 <불교> 절에서 일정한 기간을 정해 놓고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서 .. 불교용어해설 2014.03.03
사마타 - 사티 - 위빠사나 사마타 - 생각이 멈춘 상태 사티( 정념 ) -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중간단계, 양자의 성격혼재( 인의예지, 사단분석을 하기 좋은 환경 ) 위빠사나 - 생각, 분석을 하는 상태 ( 열반, 오온 ) 불교용어해설 2014.02.26
28천, 33천, 욕계 불자는 수행을 통하여 육도윤회(천상)에서 벗어남으로써 해탈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천상계를 28계로 나누고, 인간 - 아수라 - 축생 - 아귀 - 지옥를 더하면 33계가 된다. 선업과보를 받으면 인간부터 28천의 천상에 태어난다. 그러나 악업과보를 받게 되면 아수라 이하로 태어나게 .. 불교용어해설 2014.02.05
대비주 = 신묘장구대다라니 천수경에 나오는 신묘장구대다라니의 또 다른 이름이다. 결국 같은 것이다. 대비주와 같은 이름은 (1)천수다라니, (2)천수대비주, (3)신묘장구대다라니, (4)대다라니, (5)대비주 등으로 불리운다. 불교용어해설 2014.02.03
유 식 ( 唯 識 ) 모든 차별 현상은 오직 인식하는 마음 작용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 일체는 오직 마음 작용에 의한 이미지에 불과하다는 뜻. ================================================================ 識 이란? = 대상을 분별하는 마음의 작용 초기 불교 경전에서는 눈에는 안식, 귀에는 이식, 코에는 비식, 혀에는 .. 불교용어해설 2013.10.24
'본마음'과 '마음'의 관계 === 월호스님 법문 중에서 === 비유컨대, 바다 위에 떠 있는 빙산을 생각해보자. 빙산의 보이는 부분을 육체로, 빙산의 보이지 않는 물속 부분을 마음(정신)으로 본다면, 이 빙산이 다 녹아 윗 부분과 아래 부분이 모두 없어지면 바닷물이 된다. 이 바닷물이 '본마음'이다. 인연화합에 의해서.. 불교용어해설 2013.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