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금취견 악견(惡見)은 틀린 일을 올바르다고 잘못 생각하는 마음이다. 진실을 바르게 알지 못하는 마음이다. 바르게 알지 못하니 바르게 살지 못하므로 세상 사는데 큰 장애 심소(心所=번뇌)이다. 악견(惡見)에 5종의 견(見)이 있다. ① 신견(身見) 일체만법(一切萬法)이 가(假)인 줄 모르고, 나와 나의 것에 집착.. 불교용어해설 2006.11.10
회향이란? 회향이란? 자기가 닦은 공덕을 돌리는 것이다. 돌리는 대상으로는 나와 남이 있다. 즉, 보리(나)와 중생(남)이다. 나와 남의 이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상구보리, 하화중생]이라는 보살행의 이념도 회향을 통해 완성된다. 이러한 점에서 회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자기의 선행을 깨달음을 성취.. 불교용어해설 2006.10.01
탱화 * 천이나 종이에 그림을 그려 벽에 거는 불화의 종류. * 족자 또는 액자로 만들어 사용했다. * 탱화의 '탱'(幀)은 '틀에 그림을 붙이는 것', '걸개', '서화를 세는 단위' 등을 뜻한다. * 티베트에서는 탕카(tanka)라고 하며, 주로 면직물 위에 그렸다. 그림을 말아올릴 수 있도록 밑단에 대나무 막대를 붙였다. .. 불교용어해설 2006.09.13
화두란? 말씀 話, 머리 頭입니다. 곧 말의 머리, 말하기 이전의 소식이라는 의미입니다. 화두의 말씀 話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주고받는 말이 아니라, '이 우주의 모든 것, 모양이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한 단어입니다. 이 화두는 이 세상이 생기기 이전의 모양없는 바로 그것이요, 그것은 결코 변하지 않습니다... 불교용어해설 2006.07.29
[ 識 ]에 대해서 ..... < "인연법과 마음공부"에서 발췌 / 혜국 스님 > 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 이상 전오식 6식 ; 의식 - 안.이.비.설.신 ( 오관 )을 통제 7식 ; 감정(욕심내고, 신경질내고, 화내고), 자아의식, 말라식 8식 ; 전생에서 가져온 필름(운명,사주팔자), 심층의식, 잠재의식, 아뢰야식 9식 ; 空 필름 ( 佛智見 ) 우리.. 불교용어해설 2006.07.28
위빠사나, 비파샤나( Vipasyana ) 여러 가지 현상을 관찰하는 직관명상법을 말한다. 산스크리트어 Vipasyana를 음역한 것으로써 의역을 하면, 觀, 能見, 正見, 觀察 이라고도 한다. 여러 현상을 관조함으로써 통찰력을 얻는 수행법을 말한다.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의 인도 수행자들은 주로 하나의 대상에 의식을 집중함으로써 내적 황홀경.. 불교용어해설 2006.07.22
오온과 무아 오온 = 색 + 수상행식 = 지수화풍 + 수상행식 = 육체 + 정신, 곧 현재의 나 자신을 이름. 그런데, 삼법인에서는 제법무아라고 한다. 현실적으로 [나]가 엄연히 존재하는데 왜 [나]가 없다라고 하는가? 부처님 재세시에는 외도들이 있었고, 그들은 영원불멸의 실체적인 [나]가 있다고 주장(아트만)하였다. 즉.. 불교용어해설 2006.07.22
6근, 6경, 6식, 12처, 18계 * 6根( 인식기관 ) ; 안.이.비.설.신.의 * 6境( 인식대상 ) ; 색.성.향.미.촉.법 * 6識( 인식작용 ) ; 안식, 이식 ~ 의식 * 12處 = 6근 + 6경 * 18界 = 12처 + 6식 결국 정신, 물질과 같은 모든 것은 영구불변의 실체가 아니라 연기하여 존재할 뿐이라는 것을 가르치고자 한다. 불교용어해설 2006.07.22
과거칠불( 일곱 부처님 )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에 계셨던 부처님들로서 * 비파사불 * 시기불 * 비사부불 * 구류손불 * 구나함모니불 * 가섭불 * 석가모니 부처님을 포함해서 모두 일곱 분이다. 석가모니 부처님 다음에 오실 분은 미륵불이시다. 불교용어해설 2006.0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