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번, 불화의 종류 주제별로 나누면 불화는 존상도, 회상도, 변상도로 나눌 수 있다. 존상도 : 경전에 나오는 존상 가운데, 대중의 신앙대상이 되는 존상을 그린 그림. 회상도 : 부처님께서 제자들에게 법문을 설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 변상도 : 경전의 내용이나, 교리적 의미를 그린 그림. 그 쓰임새에 따라.. GGJS-불교문화(4) 2014.12.23
109번, 오관게五觀偈 , 다섯 구의 게송 공양할 때 외우는 다섯 구의 게송을 말한다. 사찰에서는 공양도 하나의 의식이자 수행이다. ① 계공다소량피래처(計功多少量彼來處):온갖 정성이 두루 쌓인 이 공양을 ② 촌기덕행전결응공(村己德行全缺應供):부족한 덕행으로 감히 공양을 받는구나 ③ 방심이과탐등위종(防心離過貪等爲.. GGJS-불교문화(4) 2014.12.22
91번, 패엽경 貝葉經 패다라(패트라, pattra, 貝多羅)에 송곳이나 칼끝으로 글자를 새긴 뒤 먹물을 먹인 초기의 불교 결집경전(結集經典). 패다라란 인도에서 종이 대신 글자를 새기는 데 쓰인 나뭇잎을 말하는데, 흔히 다라수(多羅樹) 잎이 많이 쓰였기에 붙여진 말이다. 다라수는 종려나무와 비슷하고, 그 잎은.. GGJS-불교문화(4) 2014.12.22
67번, 심우도, 십우도 심우도는 처음 선을 닦게 된 동자가 본성에 비유되는 소(牛)를 찾기(尋) 위해 산중을 헤매다가 마침내 소를 발견하고 길들인 뒤에, 그 소를 타고 집에 돌아왔으나 다시 소에 대한 모든 것을 잊은 채, 있는 그대로의 세계에 대한 깨달음을 얻어, 속세로 나간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심우도는 .. GGJS-불교문화(4) 2014.12.22
44번, 공포栱包 일반적으로 궁궐·사찰·기념적 건축에 쓰이며, 기둥(수직부재)과 보(수평부재), 기둥과 도리 등의 수직재(垂直材)와 횡재(橫材, 보, 수평부재)가 맞추어질 때, 장식적 또는 구조적으로 짜여져서 여러 부재(받침목)가 결속된 것을 말한다. 건축물이 큰 경우, 수평부재를 연결해서 사용해야.. GGJS-불교문화(4) 2014.12.22
32번, 가릉빈가 迦陵頻伽 가릉빈가는 범어인 갈라빈카(Kalavinka)를 한자로 번역한 것으로 줄여서 ‘빈가조(頻伽鳥)’라 부르기도 한다. 이 새는 불경에 나타나는 상상의 새로 극락에 깃들여 산다고 하는데, 그 형상은 인두조신상(人頭鳥身像)을 나타낸다. 이 신조(神鳥)는 “자태가 매우 아름다울 뿐 아니라 소리 또.. GGJS-불교문화(4) 2014.12.22
20번, 보살상, 지물 관세음보살 : 보관에 아미타불의 化佛이 들어 있고, 손에 연꽃가지나 연봉 혹은 정병을 들고 있다. 아미타불(阿彌陀佛)의 化身으로서 이 세상에 나타나며, 이 때문에 쓰고 있는 보관(寶冠)에는 아미타불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지장보살 : 석장을 들고 머리에 두건을 쓴 존상 ※ 석장의 용.. GGJS-불교문화(4) 2014.12.22
15번, 오타인듯? 지권인 설명문 중에서 왼손의 무명지(약지, 네번째 손가락)를 펴서 ~~~ 라고 되어 있는 부분에서, "무명지"가 아니라 "검지" 혹은 "집게손가락"으로 표현을 해야 옳을 듯합니다. ※ 7번, 수인 설명자료 참조요망. GGJS-불교문화(4) 2014.12.22
7번, 수인의 종류와 설명 불상의 손모양 (수인手印) 불, 보살의 공덕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손 모양을 수인(手印)이라 한다. 원래 불전도(佛傳圖)에 나오는 석가의 손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석가모니불의 경우에는 선정인, 항마촉지인, 전법륜인, 시무외인, 여원인의 5가지 수인을 주로 취하나 이 밖에도 천지인 .. GGJS-불교문화(4) 2014.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