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의 도덕경 1장 [원문] : http://cafe.daum.net/treeoflight/cGkJ/2?q=%B5%B5%B4%F6%B0%E61%C0%E5&re=1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名 (도가도비상도 명가명비상명)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고상무욕이관기묘 상유욕이관기요)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 교양, 인문 2015.06.09
서경 [書經] 유교 경전. 오경(五經) 중의 하나로, 중국 상고시대(上古時代) 정치의 기록이다. 고대에도 제도상으로 사관(史官)이 있어 나라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정치적 상황이나 사회 변동·문물 제도 등을 낱낱이 문자로 기록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옛날에는 그저 서(書)라 일컬었으며 때로는 왕조.. 교양, 인문 2015.01.10
시경 [詩經] 춘추 시대의 민요를 중심으로 하여 모은, 중국에서 가장 오래 된 시집. 황허강[黃河] 중류 중위안[中原] 지방의 詩로서, 시대적으로는 주초(周初)부터 춘추(春秋) 초기까지의 것 305편을 수록하고 있다. 본디 3,000여 편이었던 것을 공자가 311편으로 간추려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오늘날.. 교양, 인문 2015.01.09
경학 [經學] - 사서삼경을 연구하는 학문 조선 시대 16세기 이후, 사림이 중요시 여긴 학문. 유교 경전인 <맹자> · <논어> · <대학> · <중용>의 4서와 <시경> · <서경> · <역경=주역>의 3경 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경학을 중시하는 사림의 학문 세계는 고정적이고 획일적(훈고학의 성격과 동일)이.. 교양, 인문 2015.01.09
주역, 역경 단순히 《역(易)》이라고도 한다. 이 책은 점복(占卜)을 위한 원전(原典)과도 같은 것이며, 동시에 어떻게 하면 조금이라도 흉운(凶運)을 물리치고, 길운(吉運)을 잡느냐 하는 처세상의 지혜이며, 나아가서는 우주론적 철학이기도 하다. 주역(周易)이란 글자 그대로 주(周)나라의 역(易)이.. 교양, 인문 2015.01.09
[탄허록] 종교 - 3대 성인이 이 세상에 온 까닭을 아는가? * 불교에서는 마음의 근본자리를 밝히는 것 이외의 것을 외도라 하고 사법이라 한다. 유교에서는 이단이라고 하고, 도교에서는 방문이라고 한다. * 마음을 닦는 데에는 지식보다는 지혜가 훨씬 중요하다. 마음 닦는데 지식이 크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 우리가 흔히 중생이나 부처, .. 교양, 인문 2012.06.09
[탄허록] 생사 - 태어난 이여, 죽음을 피할 길이 없구나 * 인생의 가장 귀한 것은 정법을 만나는 것이다. 정법을 만났으면 결코 빈손으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 금생에 해탈문 중 큰 보배를 꼭 붙잡아야 한다. * 도는 진리를 나타내는 대명사이다. 도 = 진리 * 도를 잃으면 덕이라도 갖추어야 하고, 덕을 잃으면 인이라도 베풀 줄 알아야 하며, 인을 .. 교양, 인문 2012.06.09
[탄허록] 철학 - 한 마음이 꿈을 일으키고, 우주를 일으키니 * 하나의 근본이 만 가지 다른 것이 되고, 만 가지 다른 것이 한 가지 근본이다. 우주 만물 하나하나가 각각 태극(우주의 핵심)의 진리를 갖추었고, 우주 전체를 통합해 보면 태극의 진리일 따름이다. * 이 법이 법의 자리에 머무나니 세간사 그대로가 법이라. ( 법화경 ) * 세간법 그대로가 .. 교양, 인문 2012.06.09
[탄허록] 정치 - 지도자의 역량이 국운의 방향타 * 현명한 지도자는 만민의 총명을 모아 자기의 총명으로 만들어 국정에 반영하는 법이다. * 남의 충언을 받아들이기란 쉽지 않다. 무릇 지도자라면 백성의 참된 말을 귀담아 듣고, 허물을 지적하면 이를 기꺼이 받아들여 고쳐나가는 자세가 필요하다. * 법과 영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먼저.. 교양, 인문 2012.06.09
[탄허록] 예지 - 한국과 주변국의 미래를 보다 [탄허록] 역사에도 인과응보가 있다. 동아시아에서 주된 세력을 형성하는 중국, 한국, 일본 민족은 동양사상을 구축한 요체로써 역학의 원리에서 보면, 지금까지 동양문화를 세계화하는데 일본이 앞섰지만, 미래에는 일본이 가장 불행한 나라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일본의 선조들이 저.. 교양, 인문 2012.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