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이란? 신행이란? 곧 수행( 공부 )을 의미한다. -> 믿은(信) 바대로 실천(行)하는 것이다 무엇을 믿고 무엇을 실천하는가? -> 삼보를 믿고, 오계를 실천하라. 그래서 좋은 인연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삼보란? = 부처님, 부처님의 말씀, 승가( 사부대중, 칠중으로 구성된 불교 교단을 의미함 ) 불.. 불교용어해설 2012.04.24
★ 일반용어 / 단어 중심으로........... 品과 分( chapter 의미 ) 하나의 경전은 품(品)이나 분(分)으로 구성된다. 대체적으로 분량이 큰 것은 품이라고 하고, 분량이 적은 것은 분이라고 명명한다. 그러한 예로 화엄경은 품이라고 하지만, 금강경은 분이라고 한다. 이것은 모두 章(chapter)로 번역할 수 있다. 삼천대천세계 - 1,0.. 불교용어해설 2011.07.16
★ 화엄경 공부를 하면서 정리한 용어 화엄경 관련 용어 화엄경 화엄경은 부처님의 깨달은 경지를 그대로 나타내는 최고의 경전이지만, 놀랍게도 부처님이 직접 설하신 경전이 아니다. 이 경을 설하는 주인공들은 대부분이 보살들이고, 때로는 불법을 옹호하는 호법신들도 조연 역할을 한다. 즉, 보살들이 삼매(선정)에 들어 부처님의 위신.. 불교용어해설 2011.07.16
기원정사 기원정사 = 기수 급고독원 = 기타 태자가 기증한 숲(나무)과 급고독(수닷타)장자가 기타 태자로부터 산 땅에 세워진 정원(정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불교사원이다. 최초의 불교사원은 빔비사라왕이 기증한 죽림정사이다. 불교용어해설 2011.05.15
중국불교의 오류 기원전후 대승불교가 전래되었을 당시에는 불교를 정확하게 이해를 하지 못한 상황에서 핵심교리를 [공]이라고 번역을 한 것이다. 그리고 당시 중국의 도교사상에 근거한 무, 무위와 같은 의미로 공을 이해한 것이다. 이러한 오류가 천년을 이어오다가 수나라 당나라 시대에 와서야 제대로 이해가 되.. 불교용어해설 2009.11.23
심우도 동자승 = 수행자 소 = 불성, 깨달음 수행자가 깨달음을 찾아가는 모습을 10장의 그림으로 표현한 불서이다. 깨닫고 나면 소 그림이 없어진다. 소는 방편에 불과해서 ? 궁극적으로는 나( 동자승 )도 없고, 소도 없어진다. 그래서 둥근 원만 하나 존재한다. 즉, 모든 것이 공하다는 것을 깨달았다는 의미이.. 불교용어해설 2009.11.23
연기=공=변화 상관관계 연기 = 공 = 변화 ( 고정불변한 실체는 없다 ) 이 세상의 만물은 원인과 결과로 연결되어 있어서 모든 것이 하나이다. 사실 몰라서 그렇지 나와 전혀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두 가지 사실도 알고 보면 연관이 되어 있을 수 있다. 우리가 여러 단계를 거쳐서 인과관계를 맺고 있기에 마치 아무런 인연,.. 불교용어해설 2009.11.23
사성제 고집멸도 ; 고 ; 사바세계의 중생삶은 곧 고통이다. 집 ; 고통의 원인은 집착, 갈애이다.( 탐진치 삼독심 ) 멸 ; 고통을 멸하는 것 도 ; 고통을 멸하는 방법론으로 팔정도가 있다. 팔정도(계정혜)를 수행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즉, 깨달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설사 이 생에서 깨달음을 얻지 못 .. 불교용어해설 2009.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