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념처 [四念處]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고 지혜를 얻기 위한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가운데 첫번째 수행 방법이다. 사념주(四念住)·사의지(四意止)·사념(四念)이라고도 하며, 자신의 몸[身]과 감각[覺]과 마음[心]과 법(法)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제행무상(諸行無常)·제법무아(諸.. 불교용어해설 2015.02.08
공양 [供養] 산스크리트 푸자나(pujana)의 역어(譯語)로, 공시(供施)·공급(供給) 이라고도 번역되며, 줄여서 공(供)이라고도 한다. 원래 인도의 브라만교에서 동물을 신에게 제물로 바치던 공희(供犧)에 대하여, 살생(殺生)을 금하는 불교에서 행한 제의형식(祭儀形式)으로, 몸에 기름을 바르고 향을 피.. 불교용어해설 2015.01.13
공양구 供養具 공양은 여러 가지 불교의식 가운데 하나로서 불 ․ 법 ․ 승 삼보(三寶)에 대하여 진정으로 공경하는 마음을 가지고서 공물을 올리는 의식이다. 따라서 공양의식을 행함에 있어서는 꼭 청정한 마음자세를 갖추어야만 진정으로 그 의미를 살릴 수 있다. "공양구"는 불.보살전에 공양.. 불교용어해설 2015.01.13
가사(법복), 신행복, 승가, 선지식 2015.01.04 신년법회 가사(법복) : 원래는 인도 전통의상 이었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비구가 입는 옷으로써, 이것을 "법복"이라고 한다. 신행복 : 재가불자들이 신행활동하는데 편리하게 입는 옷을 '신행복'이라고 칭해야 옳다. ( '법복'이라는 표현은 오류임. ) 승가 : 부처님 이래로 전세.. 불교용어해설 2015.01.05
도리천을 33천 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불교의 우주론에 따르면, 도리천은 6욕천(六欲天) 가운데, 두 번째 하늘[天]로, 수미산(須彌山)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다. 수미산 정상에는 동서남북 4방에 천인(天人)들이 사는 각각 8개씩의 천성(天城)이 있으며, 중앙에는 제석천(帝釋天, 산스크리트어: Śakra, Indra, 인드라)이 사는 선견.. 불교용어해설 2015.01.03
법계(=우주, 진여), 삼계( 28天 ) 법계( 法 界 ) 산스크리트(梵)語 다르마다투(Dharmadhatu)의 역어이다. 부파불교에서 법계는 의식의 대상이 되는 모든 사물을 가리킨다. 반면, 일반적으로 대승불교에서는 법(法)을 모든 존재 또는 현상으로 해석하여 모든 존재를 포함한 세계, 온갖 현상의 집합으로서의 "우주" 뜻하며, 또한 .. 불교용어해설 2015.01.03
유위법과 무위법 유위법 [有爲法] ==> 금강경 사구게 중에서 ~~~ ① 온갖 분별에 의해 인식 주관에 형성된 현상. ② 여러 인연으로 모이고 흩어지는 모든 현상. = 인연법으로 나타나는 모든 현상이나 사물(tk) 무위법 [無爲法] (삼독심을 떠나) 분별하지 않고, 대상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 마음 상태. 불교용어해설 2015.01.03
산스크리트어 원어 / 어원 법 = 다르마 Dharma = 변하지 않는 것. 진리 업 = 까르마 Karma = 의도를 가진 행동 계 = 실라 Sila = 불교인의 생활방식( 윤리 ) 율 = 비나야 Vinaya = 타율적인 행위규범 ( 스님들 대상 ) 불교용어해설 2014.11.19
초발심 자경문 1. 고려 보조국사 지눌의 계.초심.학인.문 2. 신라 원효 스님의 발심수행장 3. 고려말 야운선사의 자경문 이상 3가지 책을 합본한 것이 초발심자경문 책이다. 이 책은 사미승의 기본서이다. "수심결"은 보조국사 지눌스님이 깨달음과 수행법에 대해서 논한 책 불교용어해설 201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