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교 9산 =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까지 형성된 불교 종파의 총칭 5교는 교학(敎學)을 바탕으로 한 교종의 5종파이다. 삼국에서 통일신라시대에 걸쳐 불교가 한창 성할 때 교학을 위주로 공부하는 종파가 열반종(涅槃宗), 계율종(戒律宗), 법성종(法性宗), 화엄종(華嚴宗), 법상종(法相宗)의 5개 종파로 나누어졌다. 계율종은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慈藏)이.. 불교용어해설 2014.11.15
무상, 無常 무상하다는 말을 자칫 부정적인 의미로 '허무하다', '허망하다', '무의미하다', '가치가 없다'라는 것으로 오해를 하는 수가 있는데, 이것은 잘 못 이해한 것이다. 무상이란? '변하지 않고 고정된(항상하는) 것은 없으니, 지금 이 순간에 집착하지 말라'는 뜻이다. 즉 삼라만상, 생물이든 무.. 불교용어해설 2014.08.16
사무량심 四無量心 무량한 중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에게 무량의 복을 주는 이타(利他)의 마음으로써 ~~ 자(慈)·비(悲)·희(喜)·사(捨)의 네 가지의 무량심을 가리킨다. 자무량심은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일과 우애의 마음, 비무량심은 다른 사람의 고통을 동정하여 제거해 주는 일, 희무량심은 다른 사.. 불교용어해설 2014.08.09
사섭법 四攝法 보살이 중생을 제도(濟度)할 때에 취하는 네 가지 기본적인 태도로써 ~~ ① 보시(布施):진리를 가르쳐 주고(法施), 재물을 기꺼이 베풀어 주는 일(財施), ② 애어(愛語):사람들에게 항상 따뜻한 얼굴로 대하고 부드러운 말을 하는 일, ③ 이행(利行):신체의 행위(身業), 언어행위(口業), 정신.. 불교용어해설 2014.08.09
常樂我淨 상락아정 성불=해탈=열반의 4가지 德 = 열반에 갖추어져 있는 네 가지 성질·특성. / 열반에 이르게 되면......... 영원히 변하지 않는 상(常), 괴로움이 없고 평온한 낙(樂), 대아(大我)·진아(眞我)의 경지로서 집착을 떠나 자유 자재하여 걸림이 없는 아(我), 번뇌의 더러움이 없는 정(淨). [네이버 지.. 불교용어해설 2014.08.09
神妙章句大陀羅尼 = 대비주 관세음보살과 삼보(三寶)에 귀의한 뒤, 악업을 그치고 탐욕과 노여움과 어리석음의 삼독(三毒)을 소멸하여 깨달음을 이루게 해 줄 것을 기원하는 주문. * 진언 : 비교적 짧은 주문 * 다라니 : 비교적 긴 주문 불교용어해설 2014.03.19
我相, 我想 오온(=몸과 정신)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실재의 ‘나’가 있다고 집착하는 생각. 즉 '나'라는 생각. 산스크리트어 ātma-saṃjñā 나라는 관념·생각. 자아(自我)라는 관념·생각. 자의식. 남과 대립하는 나라는 관념·생각 * 무주相 - 집착함이 없이. 나를 내 세우지 말고... 불교용어해설 2014.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