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한 중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에게 무량의 복을 주는 이타(利他)의 마음으로써 ~~
자(慈)·비(悲)·희(喜)·사(捨)의 네 가지의 무량심을 가리킨다.
자무량심은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는 일과 우애의 마음,
비무량심은 다른 사람의 고통을 동정하여 제거해 주는 일,
희무량심은 다른 사람의 행복을 보고 기뻐하는 일,
사무량심은 다른 사람에 대한 원한의 마음을 버리고 평등하게 대하는 일이다.
'불교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교 9산 = 통일신라 말기에서 고려 전기까지 형성된 불교 종파의 총칭 (0) | 2014.11.15 |
---|---|
무상, 無常 (0) | 2014.08.16 |
사섭법 四攝法 (0) | 2014.08.09 |
常樂我淨 상락아정 (0) | 2014.08.09 |
神妙章句大陀羅尼 = 대비주 (0) | 201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