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64

일체유심조, 불교의 가르침

오늘은, 모처럼 새벽에 일어나자마자 석두스님의 법문이 떠올랐다. 지난 일요법회는 내가 집전을 하였고, 법상 바로 앞에서 들었던 법문의 제목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였는데, 그 해답은 '일체유심조'인것 같다. (1) 고통은 누가 나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받는 것이다. 어떠한 한 가지 현상이나 상황을 놓고 보면, 받아들이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 그 현상을 받아들이는 내용은 같을 수도, 같지 않을 수도 있다. 엄격하게 보면 모두 다르다. 그 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어떻게 느끼느냐? 하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다. 그래서 누군가가 나에게 어떤 말과 행동을 가하더라도, 내가 그것을 고통으로 받아들일 것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내가 결정하는 것이므로, 고통이란 주는 것이 아니라 받는 것이다. 즉, 그 ..

수필 2020.10.14

대승경전

대승불교 출현배경 ; 붓다 석가모니가 입멸한 후, 100년경부터 400년 사이에 '아비달마 논서'가 나오고, '출가자 중심으로 불교의 이론적 연구'가 발달한 '부파불교' 시대가 열렸다. 기원 전후에 이러한 부파불교 시대를 거부하고, 재가자 중심으로 "붓다의 불교" 시대로 다시 되돌아가자는 개혁운동으로 대승불교가 출현하였다.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불교는 부파불교 시대와 닮았는가? 대승불교 시대와 닮았는가? 과연 초기불교의 붓다의 삶처럼 재가자와 출가자가 살아가고 있는가? 오히려 불교를 이론적으로 공부만 하는 부파불교 시대와 비슷한 점이 더 많지 않은지? 우리 스스로 신행활동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대승불교의 교리는 반야 -> 공 -> 유식 -> 여래장 -> 정토로 전개되었다. 1. 관무량수..

경전(經典) 2020.09.29

초기경전

1. 대념처경 ; 사념처 수행, 신수심법, 위빠사나 2. 법구경 ; 한역경전이 팔리어본보다 내용이 더 많다. 3. 불유교경 ; 입멸직전 제자들에게 최후의 설법 4. 비유경 ; 백유경 5. 사십이장경 ; 최초의 한역경전, 말씀 중 주요부분만 번역 6. 숫타니파타 ; 경집, 수타+니파타 7. 니까야 ; 디가(장), 맛지마(중), 상윳다(잡), 앙굿다라(증일), 쿳타카 니까야( 법구경, 본생담 ) 8. 아함경 ; 장, 중, 잡, 증일~~ / 상기 팔리어 니카야를 한역한 것 9. 유행경 ; 80세 붓다의 마지막 여정을 기술

경전(經典) 202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