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65

여기에는 기념이 될 만한 중요일정을 메모한다

2020.02.00 중국 우한에서 시작한 코로나-19가 한국에도 본격적으로 전파되기 시작하여 하순부터 포교활동도 중단 2020.12.00 전세계 약 40여개 국가에서는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개시되었음. 한국은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임. 2020.02.00 지역단 포교활동이 전면 중단되었다. 모든 회의는 zoom으로 진행하게 되었다. 팀원들간 교류도 없다. 2021.01.00 금강정사에서도 연초 1월 한달간 모든 법회를 유튜브 생방송으로 전환하였음.( 연말 하루 1,000명 상회 ) 2021.02.00 2월말부터 아스트라 백신을 접종하기 시작했다. 3월 중순 현재 백신 부작용으로 인한 사고발생이 크다.

Major history 2020.10.17

일체유심조, 불교의 가르침

오늘은, 모처럼 새벽에 일어나자마자 석두스님의 법문이 떠올랐다. 지난 일요법회는 내가 집전을 하였고, 법상 바로 앞에서 들었던 법문의 제목이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였는데, 그 해답은 '일체유심조'인것 같다. (1) 고통은 누가 나에게 주는 것이 아니라, 내가 받는 것이다. 어떠한 한 가지 현상이나 상황을 놓고 보면, 받아들이는 사람의 마음에 따라 그 현상을 받아들이는 내용은 같을 수도, 같지 않을 수도 있다. 엄격하게 보면 모두 다르다. 그 현상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 어떻게 느끼느냐? 하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다. 그래서 누군가가 나에게 어떤 말과 행동을 가하더라도, 내가 그것을 고통으로 받아들일 것이냐? 아니냐? 하는 것은 내가 결정하는 것이므로, 고통이란 주는 것이 아니라 받는 것이다. 즉, 그 ..

수필 2020.10.14

대승경전

대승불교 출현배경 ; 붓다 석가모니가 입멸한 후, 100년경부터 400년 사이에 '아비달마 논서'가 나오고, '출가자 중심으로 불교의 이론적 연구'가 발달한 '부파불교' 시대가 열렸다. 기원 전후에 이러한 부파불교 시대를 거부하고, 재가자 중심으로 "붓다의 불교" 시대로 다시 되돌아가자는 개혁운동으로 대승불교가 출현하였다. 그렇다면 오늘날 한국불교는 부파불교 시대와 닮았는가? 대승불교 시대와 닮았는가? 과연 초기불교의 붓다의 삶처럼 재가자와 출가자가 살아가고 있는가? 오히려 불교를 이론적으로 공부만 하는 부파불교 시대와 비슷한 점이 더 많지 않은지? 우리 스스로 신행활동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대승불교의 교리는 반야 -> 공 -> 유식 -> 여래장 -> 정토로 전개되었다. 1. 관무량수..

경전(經典) 2020.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