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배예경과 상가람마 < 삼배 예경 > 초기불교 경전을 보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재가자가 출가자에게 삼배의 예경을 하지 않았던 것같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재가자는 스님께 반드시 삼배를 하라고 가르치고 있다. 이것은 근현대 한국불교사에서 보면, 일제강점기에 불교가 쇠퇴하고 승가(사.. 불교용어해설 2018.09.07
용어는 글자보다 의미가 중요하다 A는 A가 아니고 그 이름이 A이다. ( 금강경의 즉비가 이런 경우에도 통하는가? ) 개념보다 실재가 중요하다. 글자는 개념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우리가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단어.용어는 개념에 불과하다. 실재는 오감을 통해서 느끼는 것이다. < 보시 > 긴 시간을 두고 .. 불교용어해설 2018.09.07
눈물 - 유아의 감성적인 반응 유아의 감정적인 반응 세 살짜리 유아도 특정한 영상을 보고 스스로 내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구나 하는 현장을 목격하였다. 지금까지 영.유아는 감정보다는 몸으로 느끼는 것에 대한 반응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예전에도 손자에 대해서 이런 말을 한 번 들어보긴 하였지만, 오늘 .. 단상 2018.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