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별심] 선과 악을 구분할 수 없다. 조건에 따라 다르다. 예를들어 >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왜병 수 만명을 수장시킨 것이 선인가 악인가? > 근대사에 안중근 의사가 이토오히로부미를 암살한 것이 선인가 악인가? 조선사람 입장에서 보면 선이요. 일본사람 입장에서 보면 악이다. 그리고 오늘날에도 남방불교 입장에서 보면, 오계를 .. 불교용어해설 2018.09.07
절 寺 - 상가람마에서 유래 절은 스님을 비롯한 모든 불자들이 진리를 깨닫고자 수행하는 곳이며, 또한 수행자들이 많은 중생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하여 이익과 안락을 얻게 하는 곳이기도 하다. 절을 한자로는 가람(伽藍)이라 하며, 사(寺)라고도 한다. 가람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 ‘상가람마’에서 비롯되.. 불교용어해설 2018.09.07
삼배예경과 상가람마 < 삼배 예경 > 초기불교 경전을 보면,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재가자가 출가자에게 삼배의 예경을 하지 않았던 것같다. 그런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재가자는 스님께 반드시 삼배를 하라고 가르치고 있다. 이것은 근현대 한국불교사에서 보면, 일제강점기에 불교가 쇠퇴하고 승가(사.. 불교용어해설 2018.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