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은 스님을 비롯한 모든 불자들이 진리를 깨닫고자 수행하는 곳이며, 또한 수행자들이 많은 중생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하여 이익과 안락을 얻게 하는 곳이기도 하다.
절을 한자로는 가람(伽藍)이라 하며, 사(寺)라고도 한다. 가람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어 ‘상가람마’에서 비롯되었고, 사(寺)는 중국에서 관청을 뜻하는 말인 ‘시(寺)’에서 파생되었다. 상가람마는 수행자들의 공동체라는 뜻을 지닌 ‘상가’와 거주하는 곳이라는 뜻을 지닌 ‘아라마’의 합성어이다. 청정한 수행자들이 모여 정진하는 곳이 곧 ‘상가람마’였던 것이다.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면서 ‘상가람마’를 비슷한 소리의 한자인 ‘승가람마(僧伽藍摩)’로 번역해 사용했으며, 이를 줄여서 ‘가람’이라 하였다.
중국에서 스님들이 모여 수행하는 곳을 사(寺)라 한 것은 후한(後漢) 때였다. 후한 명제(明帝) 10년(서기67년) 중인도에서 가섭마와 축법란스님이 불법을 전하기 위해 흰 말에 불상과 불경을 싣고 낙양에 오자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관청인 홍로시에 머물게 했다. 명제는 스님들을 위해 백마사를 지었는데, 이때부터 스님들이 계신 곳을 관청과 구별하기 위해 사(寺)라 했던 것이다.
그렇다면 순수한 우리말인 ‘절’이란 말을 사용하게 된 것은 어떠한 연유인가? 신라에 불교를 처음으로 전한 아도스님이 모례(毛禮)의 집에 머물렀는데, 모례의 이두음인 털례가 변해서 ‘털→덜→절’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사찰(寺刹)’이란 말의 ‘찰’이 변했다고도 하며, 사찰에 가면 절을 많이 하기 때문에 ‘절하는 곳’이라는 의미에서 절이 되었다고도 한다.
'불교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도 윤회 (0) | 2018.09.07 |
---|---|
[분별심] 선과 악을 구분할 수 없다. 조건에 따라 다르다. (0) | 2018.09.07 |
삼배예경과 상가람마 (0) | 2018.09.07 |
용어는 글자보다 의미가 중요하다 (0) | 2018.09.07 |
팔재계(八齋戒) (0) | 2018.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