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개론강의실 2 - 장휘옥 저 -
자이나교 ( P39 )
기본교리 : 육사외도 가운데 한 사람인 니간타 나타풋타는 석가모니보다 약 20년 연하이다. 그는 바이샬리( 베살리 )의 왕족출신으로 결혼한 후, 30살에 출가하여 12년간의 고행을 한 결과 깨달음을 얻어, "지나"가 되었다. 지나란? 승리자란 뜻이다. 자이나교란 '승리자의 가르침'을 뜻한다. 자이나교도 불교와 거의 동시대에 흥기하여 반베다의 입장에서 새로운 시대적 사상을 설하였다. 초기 교단형성이나 성전편찬 등은 불교와 유사한 점이 많다. 윤회로부터 해탈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불교와 같다. 그러나 교리면에서 상당히 다르다. 교리측면에서는 상대주의, 고행주의, 요소실재설 등을 설하고 있다.
교리 : 불살생계와 무소유
- 불살생, 불망어, 부도(도둑질), 불음(불사음), 무소유의 5계를 엄수해야 한다.
- 특히 불살생과 무소유가 강조되고 있다.
- 지.수.화.풍.동물.식물의 여섯가지 종류의 영혼을 인정하고 있다.
- 이 여섯 가지 영혼을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 불살생계율이다.
- 동물 뿐만 아니라 식물을 먹는 것도 살생이 되므로 굶어 죽는 자를 최고의 수행자로 취급한다. 불살생계를 지키기 위해 물 속의 작은 벌레를 먹지 않으려고 물을 여과해서 마시고, 길을 걸을 때 작은 벌레를 밟지 않으려고 쓸어 가면서 걸었으며, 공중의 미세한 벌레를 빨아들이지 않으려고 입에 마스크를 쓰고 다녔다고 한다. 한편 무소유의 계율을 지키기 위해 초기에는 의복을 입지 않고 나체로 수행을 했다. 후에는 흰옷을 걸친 백의파가 나타났으므로 본래의 보수파를 空衣派라고 불렀다. 그 외에도 수행의 중심은 고행이었다. 뜨거운 태양 아래서 몸을 태우거나 몇 개월씩 물을 마시지 않고 단식을 하는 고행을 위주로 하였다.
- 출가수행자와 같이 불살생계를 지켜야 할 재가신자들은 농업보다는 상업이나 금융업에 종사했기에 부유한 사람들이 많았다. 19세기까지만 해도 인도 민족자본의 50%이상을 전체 인구의 0.5%도 안되는 자이나교도가 가지고 있었다.
13세기에 이슬람교의 인도칩입으로 불교는 인도에서 자취를 감추었으나, 자이나교는 인도 국내에서만 머물면서 지금까지도 교세를 존속시켜 현재 상공업자를 중심으로 200만명의 신도가 있다고 한다. 원경합장
자이나교의 교단구성 = 비구, 비구니, 재가신자로 구성된다.
종교적 이상 = 올바른 신앙, 올바른 지식, 올바른 행동
'불교학개론(장휘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 개론 3 (0) | 2012.09.04 |
---|---|
불교 개론 2 (0) | 2012.09.04 |
불교 개론 1 (0) | 2012.09.04 |
'종교' Religion 이라는 용어의 유래.의미 (0) | 2012.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