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학개론강의실 2 - 장휘옥 저 -
고대 인도사 구분
고대 제1기 : BC 1200 ~ AD 120 / 철학적 사유를 형성한 시기
- BC 1200 ~ BC 1000 : 리그베다 시대
- BC 1000 ~ BC 800 : 브라흐마나 시대
- BC 800 ~ BC 500 : 우파니샤드 시대
- BC 500 ~ AD 120 : 자유사상가의 배출( 불교, 자이나교 등 ) 반베다적 입장, 비정통적 바라문 사상 출현
위의 표에서 보이는 리그베다 브라흐마나 우파니샤드 등은 모두 성전의 이름이다. 이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인도의
경우 왕조에 의한 시대구분이 아니라 성전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고 있다. 인도사상이 얼마나 철학적인가를 알 수 있다.
고대 제2기 : AD 120 ~ AD 600년 / 철학체계의 확립과 전개시대
인도는 예로부터 종교의 나라, 철학의 나라, 詩의 나라라고 불릴 만큼 다양한 사상들이 전개되어 왔다. 세계 4대 문명
발상지인 인더스문명(고도의 도시문명) 시대에 어떤 정신문화가 번창하고 있었는지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출토된 유물에 의하면, 인더스문명은 母神숭배, 동물숭배, 수신숭배 등 애니미즘이 있었고, 요가의
수행이나 목욕도 행하여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된다. 이러한 풍습은 초기 베다종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후대의 힌두교에서 발견되고 있다.
인더스문명이 종식을 고할 즈음, 즉 기원전 13세기말경에 조상이 서양인과 같은 유목민 아리아인이 인도 북서부 펀잡
지방을 수 차례 칩입하여, 결국 흑갈색의 선주민을 정복하고 정착하였다. 이들을 인도.아라아 인이라 부른다. 인도.
아리아 인들은 새로운 땅에 거주하면서 찬가집 리그베다에 그들의 신화를 노래하면서 바라문의 종교인 베다종교를
성립시켰다. 이것이 인도사상사의 개막이다.
기원전 4세기에 마우리아 왕조가 인도를 통일하고, 아쇼카 왕이 불교에 귀의하게 되자 불교는 인도의 전 지역으로
퍼지게 되었으며, 다시 남아시아 여러 나라로 전파되었다. 한편 베다문명의 붕괴로 토착 민간신앙을 흡수한 바라문교는
힌두교로서 일반 민중들 사이에 서서히 유행되기 시작하였다.
'불교학개론(장휘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 개론 4 (0) | 2012.09.04 |
---|---|
불교 개론 3 (0) | 2012.09.04 |
불교 개론 1 (0) | 2012.09.04 |
'종교' Religion 이라는 용어의 유래.의미 (0) | 2012.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