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번, 육사외도의 관심사와 문제점 관심사항 : 선악의 행위는 결과를 가져오는가? 그렇지 않은가? 문제점 ; 지나치게 사변적(말만 많고)이고, 극단에 치우쳐 있어 인간의 자유의지나 노력의 가치를 부정하는 문제있음. GGJS-불교입문(1) 2014.11.19
157번, 부처님 유훈 자등명 자귀의, 법등명 법귀의, 이계위사 불방일 自燈明 自歸依, 法燈明 法歸依, 以戒爲師 不放逸 대반 열반경에서 부처님께서 아난다에게 남기신 유훈으로써 아난다야, 그러므로 자기 자신을 등불 삼고, 자기 자신을 의지처로 삼아라. 다른 사람에 의지해서는 안된다. 법을 등불 삼고, .. GGJS-불교입문(1) 2014.11.19
153번, 사섭법 四攝法 보살이 중생을 제도(濟度)할 때에 취하는 네 가지 기본적인 태도. 攝 = 다스릴 섭. ① 보시(布施):진리를 가르쳐 주고(法施), 재물을 기꺼이 베풀어 주는 일(財施), ② 애어(愛語):사람들에게 항상 따뜻한 얼굴로 대하고 부드러운 말을 하는 일, ③ 이행(利行):신체의 행위(身業), 언어행위(口.. GGJS-불교입문(1) 2014.11.19
152번, 육화합 ( 六 和 合 ) 승가는 화합의 공동체이다. 전통적으로 화합승단을 유지하기 위한 원칙을 육화합이라고 하였다. 승려들이 수행생활을 하는데 있어서 화합을 이루기 위하여 여섯 가지 원칙이 있는데, 身화경, 口화경, 意화경, 戒화경, 見화경, 利화경이 있다. 이상은 六和敬이다. GGJS-불교입문(1) 2014.11.19
150번, 승가 승가 = Samgha라는 인도어의 음역 衆, 무리, 모임, 단체를 의미한다. 그 당시에 인도에서 종교나 사회조직을 일컫는 말로 쓰이고 있었다. 어떤 종교지도자가 많은사람들을 교화하여 지도하면서 거닐 경우, 그 지도자와 제자들을 아울러 승가라고 불렀다. 정치에서 공화제와 같은 의미이다. .. GGJS-불교입문(1) 2014.11.19
116번, 불소행찬 책 불소행찬 ( 佛 所 行 讚 ) ; 산스크리트 원전의 명칭은 부처님의 생애라는 의미로써 "붓다차리타"이다. 이 책은 마명이 저술한 것으로써 부처님의 생애를 아름다운 시로 표현하고 있다. 문학사적으로는 궁정시의 선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부처의 행적에 대한 시적인 가르침" - "마.. GGJS-불교입문(1) 2014.11.19
106번, 사문유관 [불교] 석가가 태자로 있을 때 가비라성(迦毗羅城)의 밖으로 놀러 나갔다가 동문 밖에서는 노인을, 남문 밖에서는 병든 사람을, 서문 밖에서는 죽은 사람을, 북문 밖에서는 승려를 만나, 인생의 네 가지 괴로움인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괴로움을 보고, 출가를 결심한 일. ( 동-남-서-북 시.. GGJS-불교입문(1) 2014.11.19
100번, 아시타 선인이 싯달타 태자의 모습을 보고 눈물을 흘린 이유 아시타 선인의 예언은 고타마 싯달타( 나중에 석가모니 ) 태자가 * 출가를 하면 부처가 될 것이고, * 정반왕의 왕위를 계승하면, 전륜성왕이 될 것인데, * 자신이 늙어, 먼저 이 세상을 떠나면서, 태자가 부처되는 모습을 볼 수 없어서 눈물을 흘렸다. GGJS-불교입문(1) 2014.11.16
96번, 팔상도, 팔상성도 팔상도란, 부처님의 생애를 8가지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1. 도솔래의상 : 도솔천에서 흰 코끼리를 타고, 마야궁으로 내려오는 모습 2. 비람강생상 : 마야 부인이 룸비니동산에서 무우수 가지를 잡고, 아이를 낳는 모습 3. 사문유관상 : 동서남북 네 개의 성문을 둘러보는 모습 4. 유성출가.. GGJS-불교입문(1) 2014.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