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9번, 간화선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북방불교권에서 선종의 공안이나 화두를 통해서 수행자로 하여금 큰 의심을 일으키고, 스스로 그 의심을 해결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는 불교의 수행법을 말한다. GGJS-불교입문(1) 2014.11.23
208번, 삼처전심 三 處 傳 心 ( 선종 법백의 제1조, 마하가섭존자 )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마하가섭 제자에게 세 곳에서 부처님의 마음을 전해주었다. 즉, 부처님은 마하가섭에게 법을 전함. 1. 영산회상 중, 염화미소 2. 다자탑전, 반분좌 3. 사라쌍수 아래서 곽시쌍부 GGJS-불교입문(1) 2014.11.23
206번, 위빠사나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실천하신 수행법, 동남아시아 테라바타 불교권에서 대중화되어 있는 선수행법으로써, 지금 있는 그대로 자신의 몸과 마음의 상태를 응시하여, 그것이 무상.고.무아(삼법인)임을 체험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수행법 GGJS-불교입문(1) 2014.11.23
205번, 정근 선법( 善法 )은 더욱 자라게 하고, 악법은 멀리 여의려고 부지런히 쉬지 않고 수행한다는 뜻으로, 염불과 같이 한마음 한뜻으로 보살님의 지혜와 공덕을 찬탄하면서 그 명호를 부르며, 정진하는 수행법 GGJS-불교입문(1) 2014.11.23
200번, 욕심과 발원 욕심 발원 본능적 능동적 결과 과정 미래 = 현재의 희생을 강조 현재 = 지금 바로 여기서 노력하는 자체를 중시 개인적.이기적 전체의 바램 GGJS-불교입문(1) 2014.11.23
190번, 십선계 十善戒 ① 불살생(不殺生):살아 있는 것을 죽여서는 안 된다. ② 불투도(不偸盜):도둑질해서는 안 된다. ③ 불사음(不邪淫):남녀의 도를 문란케 해서는 안 된다. ④ 불망어(不妄語):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⑤ 불기어(不綺語):현란스러운 말을 해서는 안 된다. ⑥ 불악구(不惡口):험담을 해서는 안.. GGJS-불교입문(1) 2014.11.23
199번, 욕심과 발원의 차이 우리가 평소에 법당에서 하는 기도가 발원이 아니라 욕심이 아닌지? 욕심 발원 결과 중심 과정 중심 개인적 공동체적 의도된 의지 순수한 의지 이기적 이타적 ( 공익을 위함 ) GGJS-불교입문(1) 2014.11.19
196번, 기도 기도하는 마음은 ? * 분별심을 내려 놓고,( 선악, 호불호 등 ) * 참회하는 마음으로 * 자비로운 마음으로 * 가피에 대한 믿음으로~~~ 기도는 가능한 매일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장소에서 하는 것이 좋다. 간절한 마음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자기부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참회 궁극.. GGJS-불교입문(1) 201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