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종단

한국의 현대불교 - 해방이후

圓鏡 2018. 8. 28. 21:36


< 현대 한국불교 - 해방이후 >

 

> 일본에 이은 미군정의 종교편향 정책 : 기독교를 지원하고 불교를 차별하는 종교정책, ()귀속재산처리법으로 불교재산권 배제하고, 일본의 사찰령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 다수의 교단혁신단체 등장 : 불교청년당, 혁명불교동맹, 조선불교혁신회, 불교여성총동맹 등이다. 이들은 비구승을 수행승으로 해서 교단의 중심역할을 하게 하고, 대처승은 교화승으로 분류하여 사찰의 사무행정을 맡도록 하였다. 교단의 집행부에는 대처승이 다수를 점하고 있어서 당연히 이 제도에 반대하였다.


> 1947년 봉암결사 : 부처님 법대로 살자. 청정한 수행가풍을 되살리자. 부처님의 계율과 교법을 준수하자. 라는 등을 주장하면서, 불교 전통을 회복하려는 수행결사였다. 성철, 청담, 향곡, 자운, 월산, 혜암, 성수, 법전 스님들이었다. 시주나 소작료에 기대지 말고, 스님들이 하루 2시간 이상 직접 바깥에서 운력을 하고, 비단가사를 금지하고 삼베나 면으로 바꾸었다. 1968년 고우, 법련 스님이 다시 한 번 봉암결사를 벌였으며, 1982년에는 조계종 종립 특별 수도원으로 지정하였다.


> 미군정의 종교편향 정책 :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까지 미군정은 개신교 우대정책을 펼쳤다. 19467월에는 미군정청 장관에게 사찰령 철폐를 요구하였으나 끝까지 철폐하지 않고, 사찰재산임시보호법도 인준하지 않았다. 미군정 종교정책 핵심은 공인교(公認敎) 제도였다. 즉 국가가 특정 종교를 공인하고 정책적으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제도는 정교분리라는 면에서 큰 문제점이 있는 정책이었다. 미군정의 공인교정책으로 기독교, 천주교, 불교는 공인되었지만, 민족종교와 신흥종교는 종교로 인정받지 못하였다. 미군정은 주로 기독교 지원정책을 펼쳤다. 해방직후 통계자료를 보면 기독교인은 3%에 불과하다. 그러한 사례로써는 미군정 초기에 크리스마스만 유일하게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미군정 국장의 54%가 기독교인이었다. 1947년 국가가 경영하는 서울방송을 통해서 전도활동을 하였다. 또한 기독교측에서는 일요일에 국가시험, 국가행사, 선거시행 등을 금지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1948815일 초대 대통령취임식에서 대통령직을 성실하게 수행하겠다는 선서를 하나님에게 하였다. 이승만 초대정권의 장관 42%가 기독교인이었다.(전체 종교인구 비율에 비하면 역전상태) 19512월에 시작된 군종제도도 기독교와 천주교만을 위한 제도였다. 그리고 일본불교의 사찰과 포교당을 조계종 재산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 사찰재산임시보호법 )


> 한국전쟁과 불교 : 불교계는 큰 피해를 입었다. 사찰은 불타고, 주요인사는 납북되고, 사찰 문화재가 파손되었다. 강원도 일대의 사찰은 국군과 유엔군에 의해 포격대상이 되었고, 지리산 일대에는 좌익 빨치산의 출몰로 큰 피해를 입었다. 이런 와중에도 상원사를 지킨 방한암스님,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수호한 김연환 조종사, 법흥사 수호를 위한 법흥결사대와 같은 미담도 있다.


> 농지개혁과 불교 : 19496월에 농지개혁법이 시행되었다. 이 법이 시행되기 이전부터 교단입장과 혁신단체간에는 갈등이 있었다. 이 법의 취지는 농민의 자경을 위주로 한 법이므로 사찰은 토지를 대부분 상실하였다. 이로 인해서 승려의 생계조차 위협을 받게 되었다. 한편 사찰은 토지보상으로 받은 지가증권으로 회사, 공장, 양조장, 극장을 경영하였지만 대부분 경영에 실패하였다. 1952년 정부에서도 이를 인정하여 농민에게 이미 제공된 토지의 일부를 사찰로 반환하게 하는 것이었다. 사찰주변 2Km이내의 토지, 경작자가 포기를 승낙한 농지, 이전에 사찰이 소유한 농지 등을 반환받았다.


> 1954년 불교정화운동 : 불교의 근본정신과 한국불교의 전통을 회복하기 위한 운동이었다. 즉 비구승 중심의 교단수립, 대처승 배제, 계율수호, 청정승풍 회복, 사찰정화 등이었다. 계율 파괴관련으로 가장 큰 문제점은 승려의 결혼이었다. 19545월에 이승만 대통령이 불교정화를 촉구하는 담화문이 발표하였다. 담화문 요지는 사찰은 비구승이 담당하고 대처승은 사찰 밖으로 나가라는 것이었다. 이 정화운동의 중심에는 선학원이 있었다. 비구승과 대처승의 갈등은 폭력까지 행사하며 태고사( 조계사 )를 뺏고 빼앗기는 분쟁을 거듭하자, 정부(문교부)에서 중재에 나섰다. 그러하던 차에 5.16 군부 혁명으로 불교정화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분규해결을 위해 불교재건위원회를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양측이 합의한 불교재건비상종회가 열리고, 새로운 종헌이 통과되었다. 19624월 통합종단인 대한불교조계종이 정식 출범하였다. 그러나 비구승 중심의 종단 운영은 대처승의 반발로 19705월에 한국불교태고종을 창종하게 되었다.


> 19801027일 법난 : 당시 계엄군은 불교를 정화한다는 명분으로 1027일 새벽에 전국 사찰에 난입하여 종정, 총무원장, 본사 주지 등을 연행하여 20명을 구속하였다.


> 1994년 개혁종단 : 8개의 단체들이 조직화하여 범종단개혁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김영삼정부의 정치자금 문제와 서의현 총무원장 3선 개선반대를 과제로 내세웠다. 마침내 서의현 총무원장이 물러나고, 총무원 중심제의 폐단을 줄이기 위해서 교육원과 포교원을 분리하였다. 출가자에게는 4년간 승려기본교육을 의무화하고, 각종 포교단체를 창립하였다. 오늘 현재 전국승려대회가 있고, 교권수호대회가 벌어지고 있는 이 시점에서는 이들 개혁종단 세력들이 기득권 세력으로 내몰리고 있다. ( 25년이 지난 시점에서 )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