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 수행의 종교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수행을 하면 신통력을 얻어서 초능력자와 같이 살아갈 수 있다.
② 과거와 미래를 통찰하되 현재에 깨어있으면서 사는 것이 수행이다.
③ 몸과 마음의 잘못된 습관을 바꾸고 견해를 바로 세우는 것이 수행이다.
④ 수행의 결과도 중요하지만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의 깨달음이 더 중요하다.
2. 불자의 대표적인 인사법인 합장(合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불보살님께 공경과 믿음의 마음을 표현하는 인사법이다.
② 부처와 중생, 너와 내가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뜻을 담고 있다.
③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불교국가의 공통적인 인사법이다.
④ 절에서 부처님이나 스님께 하는 인사법으로 일반인에게는 하지 않는다.
3. 전통사찰의 하루는 새벽 3시, 혹은 4시에 시작된다. 다음 중 새벽에 사찰의 대중을 깨우고 도량을 청정하게 하는 불교의 의식은 무엇인가?
① 쇳송 ② 도량석 ③ 마지 ④ 예불
4. 다음 보기 중 불전사물(佛殿四物)에 해당하는 것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 보 기 ]
㉠ 염주 ㉡ 목탁 ㉢ 목어 ㉣ 죽비
㉤ 범종 ㉥ 금강저 ㉦ 법고 ㉧ 운판
① ㉠, ㉡, ㉣, ㉦ ② ㉢, ㉥, ㉦, ㉧
③ ㉡, ㉣, ㉤, ㉦ ④ ㉢, ㉤, ㉦, ㉧
5. 사찰의 여러 전각에 모셔진 불보살님과 건물의 이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석가모니부처님 - 대적광전 ② 미륵부처님 - 미타전
③ 관세음보살님 - 원통전 ④ 지장보살님 - 용화전
6. 불교에서 대장경을 3가지로 분류하여 삼장(三藏)이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 부처님께서 설하신 불교교법의 내용을 후대의 제자들이 의미와 체계를 해설한 내용을 모아 놓은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경장(經藏) ② 율장(律藏)
③ 논장(論藏) ④ 복장(福藏)
7. 불교에서 다음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는?
◦ 불법(佛法)인 바른 법을 보호하는 수호신이다.
◦ 사람들에게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이는 징계한다.
◦ 발밑에 악마를 짓밟고 있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 사찰로 들어가는 입구에 4분의 신상을 모셔놓는다.
① 마왕 ② 아수라
③ 염라대왕 ④ 사천왕
8. 극락전(極樂殿)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연화장세계의 교주인 비로자나부처님을 모신 전각이다.
② 본존불의 이름을 따라 미타전(彌陀殿)이라고도 한다.
③ 극락세계의 아미타부처님을 모신 법당이다.
④ 극락전을 무량수전이라고도 한다.
9. 불탑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탑은 산스크리트어로 스뚜빠(stūpa) 또는 빨리어로 뚜빠(thūpa)라고 한다.
② 불탑의 기원은 부처님 입멸 당시의 경전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③ 불멸 후 여덟 나라의 국왕들이 8등분해 자신들의 나라에 탑을 세웠다.
④ 우리나라에서는 목탑, 중국에서는 석탑, 일본에서는 전탑이 발달했다.
10. 법당 안은 보통 상단, 중단, 하단의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 중 법당 안의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불보살을 모신 단은 상단 또는 불단이라고 한다.
② 호법신장을 모신 단은 중단 또는 신중단이라고 한다.
③ 상단에는 아미타내영도와 감로탱화를 후불탱화로 봉안한다.
④ 하단은 영가(靈駕)의 위패를 모신 단으로 영단이라고도 한다.
11. 탱화(幀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탱화는 사찰 전각의 벽에 직접 그려 넣는 그림을 말한다.
② 상단 탱화는 전각의 상단, 즉 불보살상의 뒷면에 거는 탱화이다.
③ 중단 탱화는 신중단에 모시는 탱화로서 주로 신중이나 호법신 등을 그린다.
④ 하단 탱화는 영단이나 명부전 등에 모시는 탱화다.
12. 당간과 당간지주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① 예전에 사찰에서 기도나 법회 때 내건 기(旗)를 당(幢)이라고 했다.
② 당을 걸어두는 기둥이 당간(幢竿)이다.
③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세우는 지주가 당간지주이고, 대개 사찰 입구에 세운다.
④ 당간은 주로 돌로 만들어졌으며 당간지주는 금동 · 철 등 금속재를 사용했다.
13. 사찰의 의미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사찰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닦는 수행처이자 전법(傳法) 도량이다.
② 부처님 당시의 사찰은 대부분 인가(人家)와 멀리 떨어진 장소에 세워졌다.
③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며 어리석은 마음을 깨우고 참된 삶의 길을 배우는 곳이다.
④ 부처님께 예경과 헌공을 올리며 중생의 고난과 아픔을 씻고 행복을 성취하는 곳이다.
14. 불자들은 불교의 기념일을 잘 지키고 경건한 마음으로 축하해야 한다. 다음 중 우리나라의 불교 기념일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출가재일 - 음력 2월 8일
② 성도재일 - 음력 4월 8일
③ 우란분절 - 음력 12월 15일
④ 열반재일 - 음력 7월 15일
15. 다음은 종단본 표준 한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의 일부이다. ( ) 안에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 ) 온갖 고통에서 건지느니라.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라.
① 오온이 허망함을 비추어보고 ② 반야가 곧 공임을 비추어보고
③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보고 ④ 오온이 공상임을 비추어보고
16. 다음은 법회의식이나 기도 도중에 행해지는 정근(精勤)의식이다. ( )에 알맞은 불보살의 명칭은?
나무 보문시현 원력홍심 대자대비 구고구난 ( ) …
南無 普門示現 願力弘深 大慈大悲 救苦救難
① 석가모니불 ② 아미타불
③ 관세음보살 ④ 지장보살
17. 다음은 반야심경의 의미와 그 활용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반야심경은 불교의 모든 법회나 의식에서 기본적으로 독송된다.
② 반야심경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을 줄여서 부르는 명칭이다.
③ 문답을 통해서 큰 지혜로써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가르쳐주고 있다.
④ 조석예불을 모실 때 반야심경은 중단에 하지 않고 상단을 향해서 한다.
18. 우리나라의 불교 전래와 수용 과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삼국 모두 처음부터 왕실에서 적극적인 수용 자세를 취하였다.
② 신라는 법흥왕 14년에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공식적으로 공인되었다.
③ 고구려와 백제는 중국의 전진과 동진으로부터 각각 불교를 받아들였다.
④ 중국을 통해 전래되었지만 나름대로의 독창성과 주체성을 지니고 있다.
19. 신라시대 원효의 사상과 업적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과 조선시대 서산스님의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② 당시 대중과 서민보다는 왕실 중심의 귀족 불교 전파에 크게 공헌하였다.③ 분열과 대립을 지양하고 조화와 통일을 지향하는 화쟁(和諍)사상을 주장하였다.
④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객관적 논리에 근거한 종합과 회통을 추구하였다.
20. 다음 보기의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한국불교의 특징적 사상은?
[ 보 기 ]
이것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되면서, 자신들이 살고 있는 현재의 국토가 오랜 과거부터 불교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현재도 불교의 호법신들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다는 사상이다. 특히 불교의 수용과 국가체제의 정비를 동시에 이루었던 신라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① 호국사상(護國思想) ② 정토사상(淨土思想)
③ 미륵사상(彌勒思想) ④ 불연국토사상(佛緣國土思想)
21. 불교의 처음 모습과 부처님의 생생한 말씀을 간직하고 있는 시기의 불교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① 초기불교 ② 부파불교
③ 대승불교 ④ 선불교
22. 다음 중 부파 불교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① 금욕주의 ② 승원 중심주의
③ 재가주의 ④ 출가주의
23. 인도에서 대승 불교 흥기의 주체가 되었던 집단으로서, 불탑을 관리했던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은?
① 소승중 ② 보살중
③ 연각중 ④ 부파중
24. 똑같은 물일지라도 아귀와 물고기, 사람, 천신 등이 다 제각각으로 볼 수 있다는 일수사견(一水四見)의 교훈은 다음에 열거하는 사상들 중에서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① 유식 사상 ② 부파 사상
③ 중관 사상 ④ 밀교 사상
25. 『금강경』과 같은 대승경전에서 ‘모든 법의 공한 모양[諸法空相]’이라고 말할 때의 법(法)이 지닌 용례에 해당하는 것은?
① 부처님께서 제자에게 가르치신 가르침을 말한다.
② 부처님의 말씀이 담겨 있는 불교 경전을 말한다.
③ 존재하는 모든 것, 즉 모든 사물을 말한다.
④ 인간 사회를 지배하는 법률의 법을 말한다.
26. 불교에서는 존재의 실상, 법의 참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삼법인이라고 한다. 다음 중 삼법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제행무상 ② 인생무상
③ 제법무아 ④ 일체개고
27. 아함부 경전에 의하면 “연기를 보는 자는 법을 보고, 법을 보는 자는 연기를 본다. 그리고 연기를 보는 자는 부처님을 본다.”는 구절이 있다. 다음 중 연기의 이치를 설명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연기란 ‘말미암아 일어난다’는 말로 생성과 소멸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② 연기법은 인생의 실상이 아닌 사실 세계의 현상관계만을 설명하고 있다.
③ 모든 사물은 원인과 조건에 따라 서로 의지하면서 생성되고 사라진다.
④ 모든 사물은 독자적으로 홀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28. 다음 중 불교의 사상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고정불변인 아트만(ātman)의 끊임없는 윤회를 인정하는 상주론(常主論)을 주장하였다.
② 윤회를 부정하고 한 번의 생으로 모든 것이 끝난다는 단멸론(斷滅論)을 주장하였다.
③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고행주의와 쾌락주의의 수행법을 주장하였다.
④ 양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는 중도(中道)의 실천을 주장하였다.
29. ‘지옥에서 고통 받는 모든 중생이 구원받기 전에는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서원한 보살은?
① 미륵보살 ② 문수보살
③ 지장보살 ④ 보현보살
30. 유식사상에서는 마음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아집(我執)을 일으키는 자아의식으로 모든 것을 ‘나’를 중심으로 판단하는 것은?
① 전오식(前五識) ② 의식(意識)
③ 말라식(末那識) ④ 아뢰야식(阿賴耶識)
31. 천태사상의 일념삼천설(一念三千說)은 우주의 삼천법이 모두 일념에 갖추어져 있다는 뜻이다. 다음 중 삼천(三千) 법계의 구성요소인 십계(十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수행의 정도에 따라 중생들이 지켜야 할 열 가지의 마음가짐을 나타낸 것이다.
② 하나의 마음인 일심(一心)의 상태를 열 가지의 존재양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③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하늘의 신인 육도윤회의 중생을 포함하고 있다.
④ 깨달음의 세계로 성문(聲聞)·연각(緣覺)·보살(菩薩)·불계(佛界)를 상정하고 있다.
32. 다음 중 밀교(密敎)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입과 손과 마음으로 하는 세 가지 수행, 즉 삼밀(三密)수행을 강조한다.
② 대일여래와 합일하여 현재의 몸 그대로 성불하는 ‘즉신성불(卽身成佛’을 강조한다.
③ 미신과 주술을 본질적 요소로 삼는 비불교적∙힌두적 종교 및 세계종교가 변형∙혼합된 것이다.
④ 공개적으로 설해진 가르침이 아니라 비밀리에 전한 가르침이다.
33. 다음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불교의 수행법은?
◦ 입출식념(入出息念)이라고도 한다.
◦ 들어가고 나가는 숨을 관찰한다.
◦ 마음이 산란한 사람들에게 효과가 있다.
◦ 자신의 마음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① 부정관(不淨觀) ② 수식관(數息觀)
③ 자비관(慈悲觀) ④ 인연관(因緣觀)
34. 불교의 수행은 몸과 마음을 다스리고, 마음의 평화와 행복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음 중, 불교의 수행법의 의미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절은 몸을 굽혀 상대에 대해 존경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예법으로, 몸을 통해 아상(我相)을 버리고 무아(無我)를 체험하는 수행법이며, 참회를 통해 건강한 몸과 마음을 만들 수 있는 수행법이다.
② 염불(念佛)은 부처님을 마음속으로 간절히 생각하며 떠올리는 것으로 산란한 마음을 안정시켜 평안하게 해주며, 어떤 환경에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맑고 밝아지게 해주는 수행법이다.
③ 간경(看經)은 염불이 부처님의 명호를 생각하고 그 의미에 집중하면서 외는 것처럼 진언(眞言)을 소리 내어 외워서 그 힘으로 재앙을 제거하고 마음을 밝혀 부처님처럼 청정하고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한 수행법이다.
④ 자원봉사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능력과 자원을 창조적으로 활용하여 도움이 필요한 곳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집착과 탐욕을 버리게 하는 자기 수행이며, 나와 상대방 모두가 부처님이 되기 위한 보살의 수행법이다.
35. 한국 불교의 발전을 위해서 불교도가 실천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적극적으로 보살 정신을 실천해야 한다.
② 방생을 위해서 많은 동물들을 수입해야 한다.
③ 맹목적인 기복 신앙은 절제해야 한다.
④ 범사회적인 자비 실천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
36. 대한불교조계종의 사법부 역할을 하는 기구는?
① 교육원 ② 호계원
③ 총무원 ④ 소청심사위원회
37. 한국불교 근현대사에서 교단 명칭의 변화 과정이 바르게 정리된 것은?
① 원종 - 조선불교선교양종– 조선불교조계종 – 대한불교조계종② 대한불교조계종 – 조계종 – 조선불교 – 대한불교조계종③ 조계종 – 조선불교 – 조선불교조계종 – 대한불교조계종④ 조선불교조계종 – 조선불교 – 조계종 – 대한불교조계종
38. 대한불교조계종의 종헌에 규정한 종지(宗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자각각타(自覺覺他) ② 각행원만(覺行圓滿) ③ 직지인심(直指人心) ④ 정혜쌍수(定慧雙修)
39. 대한불교조계종의 직영사찰이 아닌 곳은?
① 조계사 ② 낙산사
③ 선본사 ④ 보문사
40. 2012년 문화재청으로부터 국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불교계의 대표적인 축제의 정확한 명칭은 무엇인가?
① 연등축제 ② 팔관회
③ 연등회 ④ 초파일
주관식 각[4점]
41. 불교에서 역사상 가장 훌륭한 왕으로 인도의 아소카왕과 신라의 진흥왕을 꼽는데, 세상을 자비와 평화의 사상으로 통치하여 통합된 이상 국가를 건설한다고 믿어온 이상적 군주를 일컫는 말은 무엇인가?[4점]
( )
42. 석가모니 부처님을 본존불로 모신 법당이며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법화경』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을 위대한 영웅이라 일컫는데서 유래한 이 법당의 명칭을 쓰시오.[4점]
( )
43. 『반야경』이 보살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으로서 육바라밀의 실천을 강조하였다면, 『화엄경』「십지품」에서는 부처님처럼 정각에 도달하기 위하여 십바라밀을 닦아가는 보살의 수행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육바라밀 이외에 네 가지의 바라밀을 쓰시오.[4점]
( , , , )
44. 불법에는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라는 두 차원이 있다는 이제설(二諦說)을 주장했던 사람으로서, 인도 중관 학파의 개조는 누구인가?[4점]
( )
45. 2013년은 이 분의 열반 1300년이 되는 해이다. 이 분의 돈오(頓悟)사상은 우리나라 뿐만아니라 중국, 한국,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우리 대한불교조계종의 종명과도 직결되는 ㉠ 이 분은 누구이며, ㉡ 출가해서 깨달음을 얻기까지의 과정과 조사선의 핵심 사상을 잘 드러내고 있는 이분의 선어록은 무엇인가?
( ㉠ ) (㉡ )
'포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회 행복바라미 캠페인 동참후기 (0) | 2014.07.07 |
---|---|
제19기 예포 OT 참관 (0) | 2014.03.10 |
제18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1교시] - 2013년도 (0) | 2013.11.17 |
새 집에서 이전법회를 가지고........ (0) | 2012.11.25 |
포교사단 마크, 포교사의 노래와 악보 (0) | 2011.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