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두란 무엇인가?
- 조사님들의 본래 면목을 가르키는 말 이전의 말,
- 말 길과 생각의 길이 끊어진 말,
- 자취가 끊어진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말,
- 양변을 여읜 말,
- 일상적인 격을 벗어난 격외어(格外語)
* 진정한 나는 화두를 통해서 밝혀질 수 있다.
- 참선의 목적은 나의 정체성(identity)를 찾기 위한 것임.
* 알음알이(분별적 지식)로써는 진정한 나를 밝힐 수 없다.
- 입차문래 막존지해( 入此門來 莫存知解 )
이 문을 들어오려면, 알음알이 지식을 놔라.( 선방입구에 붙이는 글 )
* 배촉관( 背觸關 )
* 좌선이란?
앉아서 참선을 하는 것. 조사스님들은 좌선만을 고집하지 않는다.
조사선에서는 선문답, 노동, 일상생활, 좌선 등이 모두 수행이다.
* 좌선이란? ( 혜능 선사 )
밖으로 모든 경계에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坐라고 하고,
안으로 본래 성품을 보아 어지럽지 않는 것이 禪이다.
* 좌선이란?( 초조 달마대사 )
밖으로 모든 인연을 쉬고, 外息諸緣 ( 외식제연 )
안으로는 헐떡거림이 없어서, 內心無喘 ( 내심무천 )
마음이 담벼락 같이 되어야 心如牆壁 ( 심여장벽 )
가히 도(道)에 들 수 있다. 可以入道 ( 가이입도 )
* 참선은 가고, 서고, 앉고, 눕고, 말하고, 침묵하고, 시끄러울 때나
조용할 때나 언제라도 할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좌선이 안정적이고
가장 공부가 잘 되므로 가부좌를 틀고 선에 드는 것임.
좌선에 익숙해지면, 지하철이나 흔들리는 차에 앉아서 선에 들 수 있으며,
절 수행을 하면서 화두를 들어도 아주 좋다.
* 無字 화두 드는 법
- 無자 앞에 전제(全提)를 붙여서 들든지,
- 좀 막연하지만 '無' 그대로 든다(單提).
* 無자 화두 참구에서 전제형과 단제형 실례
- 전제형 ; 부처님께서는 일체 중생이 다 불성이 있다 하였는데,
왜 조주스님은 개에게 불성이 없다고 했을까?
- 단제형 ; 개에게 불성이 없다고 했을까?
- 즉, 질문과 답변 전체 내용을 가지고 의심해 들어가는 것이 전제형 화두참구이고,
질문(조건부분)은 빼고, 답변 부분만 가지고 '왜 무라고 했을까?' 라고 의심해
들어가는 것을 단제형 화두참구라고 한다.
* '이 뭣꼬' 화두 참구법 실례
- 단제형 ; [이~ 뭣꼬] 혹은 [이~하는 그 놈이 뭣꼬?]하며 의심을 일으킨다.
- 전제형 ; 이 몸뚱아리를 끌고 다니는 이 놈이 무엇인고?
부모 미생전 나의 본래 면목은 무엇인고?
밥 먹고, 옷 입고, 말 하고, 보고, 듣는 이 놈이 무엇인고?
20070308 원경합장
'수행(참선,기도,정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화선 9 - 문 없는 문을 열다 (0) | 2007.03.03 |
---|---|
간화선 8 - 화두 속으로 (0) | 2007.03.03 |
간화선 6 - 간화선 이해하기 (0) | 2007.03.03 |
간화선 5 - 간화선과 무한 향상의 길 (0) | 2007.03.03 |
간화선 4 - 지혜의 길, 자비의 길( 간화선과 무아.공 ) (0) | 2007.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