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해설

여래如來의 의미

圓鏡 2017. 5. 26. 08:07

여래의 의미

 

 

여래(如來) = 如去 = 如坐 = 如臥

==> 합쳐서 통칭으로 如如 라고 한다. ( 여여 = 그러하고 그러하다 )

 

여래(如來)는 불10(佛十號) 즉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타타가타(tathagata)를 번역한 것이라고 한다. 음역하여 다아갈(多阿竭) · 다타아가도(多陀阿伽度 또는 多他阿伽度) · 다타아가타(多陀阿伽陀) · 다타아가태(多陀阿伽馱) · 달살아갈(怛薩阿竭) · 달타벽다(怛他蘗多) 또는 달타아다(怛他誐多)라고도 한다.

 

원어를 타타가타(tatha­gata)로 보는가 타타아가타(tatha­agata)로 보는가에 따라 2가지 뜻이 있는데, 불교의 교학에서는 여래(如來)라는 낱말에는 이 2가지 뜻이 모두 들어 있다고 본다. , ()는 있는 그대로의 진실(眞如), 진리 그 자체를 뜻하는데, (=진여)로부터 온다()는 타타가타의 뜻과, (=진여)에게로 간다()는 타타가타의 뜻이 여래(如來)라는 낱말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고 본다.

 

따라서 고타마가 진리를 깨달았다는 체험 위에서 깨달음으로 향하는 지혜를 주로 한다면 '진리에게로 간다', 즉 여거(如去)가 되며, 반대로 진리를 깨달은 결과 나타난 힘, 즉 자비의 이타행(利他行)이라는 면에서 본다면 '진리에서 우리들 쪽으로 오는 것', 여래(如來)가 된다. 한역(漢譯)에서는 단어의 문자 그대로의 뜻으로는 진리에 따라 이 세상에 와서 진리를 가르치는 사람이란 뜻의 '여래(如來)'로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내포하는 의미로는 여거(如去)와 여래(如來)를 모두 뜻한다   _()_


'불교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이란 의미?  (0) 2018.03.21
색수상행식=오온  (0) 2018.01.29
카르마와 삼사라(업과 윤회)  (0) 2017.03.06
업 業 karma  (0) 2017.01.19
자성불 [自性佛]   (0) 2016.0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