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8년(태조 7)에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정도전(鄭道傳)이 저술한 불교 비판서. ≪삼봉집 三峰集≫ 제9권에 수록되어 있다.
정도전은 ≪불씨잡변≫의 저술을 마친 뒤, 권근(權近)에게 서문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수개월이 지난 같은 해 8월에 왕자의 난으로 복주(伏誅)되어 ≪불씨잡변≫은 간행되지 못하였다. 그 뒤 그 유고(遺稿)가 족손(族孫) 한혁(韓奕)의 집에서 발견되었다.
이에 한혁이 같은 해 급제자인 양양부사(襄陽府使) 윤기견(尹起畎)에게 이를 보였는데 그가 벽불(闢佛)의 명저임을 감탄해 간행하였다. 초간 때에는 단행본으로 나왔다가 1487년(성종 18)에 ≪삼봉집≫이 증간되면서 ≪삼봉집≫에 합편되었다. 권근과 신숙주(申叔周)의 서문이 있고 정도전의 증손 문형(文炯)의 발문이 있다. ≪불씨잡변≫의 논설 조목은 도합 20편인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불씨윤회지변(佛氏輪廻之辨), ② 불씨인과지변(佛氏因果之辨), ③ 불씨심성지변(佛氏心性之辨), ④ 불씨작용시성지변(佛氏作用是性之辨), ⑤ 불씨심적지변(佛氏心跡之辨), ⑥ 불씨매어도기지변(佛氏昧於道器之辨), ⑦ 불씨훼기인륜지변(佛氏毁棄人倫之辨), ⑧ 불씨자비지변(佛氏慈悲之辨), ⑨ 불씨진가지변(佛氏眞假之辨), ⑩ 불씨지옥지변(佛氏地獄之辨).
그리고 ⑪ 불씨화복지변(佛氏禍福之辨), ⑫ 불씨걸식지변(佛氏乞食之辨), ⑬ 불씨선교지변(佛氏禪敎之辨), ⑭ 유석동이지변(儒釋同異之辨), ⑮ 불씨입중국(佛氏入中國), ⑯ 사불득화(事佛得禍), ⑰ 사천도이담불과(舍天道而談佛果), ⑱ 사불지근연대우촉(事佛至謹年代尤促), ⑲ 벽이단지변(闢異端之辨)의 19편(雜辨 15편, 前代事實 4편) 권미(卷尾)에 정도전 자신이 다시 부설을 첨가하였다.
이 가운데 잡변(15편)은 주로 불교의 인과설·윤회설·화복설 등 세속의 신앙과 결부된 불교의 교설을 비판한 것과 인간의 마음[心]과 본성(本性)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오류를 비판한 내용이다. 전대사실(4편)은 불교 전래 이후 중국 역대왕조의 역사적 경험을 들어 불교가 국가에 유해한 종교임을 논술한 것이다. 불교 교설에 대한 비판에서 ≪불씨잡변≫은 성리학의 두 중심 개념인 이(理)와 기(氣)의 개념이 많이 응용되고 있다.
'GGJS-불교역사(3)'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6번, 석보상절 釋譜詳節 - 수양대군( 세조 ) (0) | 2014.12.27 |
---|---|
203번, 함허 스님의 "현정론" 저술 涵虛堂 得通和尙, 顯正論 (0) | 2014.12.27 |
★ 세계 인물사 연대표 (0) | 2014.12.27 |
144번, 5교 9산의 고려불교 (0) | 2014.12.27 |
189번, 직지심체요절 = 백운화상초록불조직지심체요절 白雲和尙抄錄 佛祖 直指心體 要節 (0) | 201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