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불교 연대표
[삼국시대]
372
고구려 소수림왕 2
전진왕이 순도를 통해 불경,불상 전함.
384
백제 침류왕 1
동진에서 마라난타가 불교를 전함.
391
고구려 광개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392
고구려 광개토왕 2
평양에 절 아홉군데를 지음.
392
백제 아신왕 1
왕이 백성에게 불교를 숭봉하라 하교.
417~458
신라 눌지왕
고구려 승 묵호자가 불교를 전함.
452
가야 질지왕 2
수로왕의 왕후 허왕후 명복을 빌고자 왕후사를 세움.
479~500
신라 소지왕
고구려 승려 아도가 불교를 전함.
512
고구려 문자왕 2
고구려 승랑, 양무제가 보낸 고승 10명에게 삼론학을 가르침. 백제 성왕 4 겸익, 인도에서 율장을 가지고 귀국.
526
신라 법흥왕 14
박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 공인.
549
신라 진흥왕 10
신라 최초 유학승 각덕, 양나라에서 귀국.
551
신라 진흥왕 12
고구려에서 망명해 온 혜랑 국통이 됨.
552
백제 성왕 30
일본에 금동불, 불경, 미륵석불을 보내 불교를 전함.
565
신라 진흥왕 26
유학승 명관, 진나라에서 불경 가지고귀국.
576
고구려 평원왕 18
의연, 북제에 건너가 불교역사 질의.
577
백제 위덕왕 24
검단, 선운사를 세움.
577
백제 위덕왕 24
일본에 경론과 율사,기술자 등을 보내 일본불교 지원.
576~59
신라 진지왕
진자, 백제에서 미륵화신 미력왕을 맞이함.
595
고구려 영양왕 6
고구려 혜자와 백제 혜총, 일본 쇼오토쿠(백제 위덕왕 42) 태자의 스승이 됨.
601
백제 무왕 2
미륵사 세움.
608
신라 진평왕 30
원광, 수나라 더러 고구려 쳐달라는 걸사표를 씀.(612년,수나라 113만대군 고구려 침략)
610
고구려 영양왕 21
담징, 일본에 불교,유학,그림,제지법 등을 가르치고 법흥사 금당벽화 그림.
612
고구려 영양왕 23
살수대첩에 일곱 승려 공헌.
613
신라 진평왕 35
수나라 사신을 위해 황룡사에서 원광을 우두머리로 백고좌회 개최.
643
신라 선덕여왕 12
자장, 왕의 요청에 따라 당에서 귀국.
643
고구려 보장왕 2
당에 사신을 보내 도사,도덕경 들여와 도교 장려
645
신라 선덕여왕 14
황룡사 9층탑 세움.
650
고구려 보장왕 9
보덕, 백제에 망명.
660
백제멸망 후도침, 복신과 함께 주류성에서 일어나 백제 국권회복투쟁을 벌임.
671
신라 문무왕 10
의상,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당군침략 정보를 알림. 명랑, 당군 침략 물리치는 밀교의식.
676
신라 문무왕 15
의상, 부석사 세움.왕의 논,밭,노비 기부를 거절.
[남북국시대]
697
발해 고왕 1
당나라와 불교 외교.
713
발해 고왕 16
발해 사신, 당나라 사찰 참배 허용 요구.
740
신라 효성왕 4
심상, 일본에 화엄종을 일으킴.
751
신라 경덕왕 10
재상 김대성, 불국사와 석굴암을 세움.
753
신라 경덕왕 12
대현, 대궐에서 금강명경 강의.
754
신라 경덕왕 13
법해, 황룡사에서 왕을 위해 화엄경을 강의.
763
신라 경덕왕 22
신충, 왕을 위해 단속사 세우고 왕의복을 기원함.
764
신라 경덕왕 23
진표, 금산사에서 미륵불 조성.
821
신라 헌덕왕 13
도의, 당에서 돌아와 선을 전함.
826
신라 흥덕왕 1
홍척, 당에서 돌아와 실상산파 개창.
845
신라 문성왕 7
무염, 당에서 돌아와 성주산파 개창.
847
신라 문성왕 9
범일, 당에서 돌아와 사굴산파 개창.
864
신라 경문왕 4
도선, 옥룡사 세움.
873
신라 경문왕 13
순지, 당에서 돌아와 오관산파 개창.
875
신라 헌강왕 1
도선, 송악지방 호족 왕륭과 친교.
891
신라 진성여왕 5
궁예, 견훤의 농민봉기군에 참가.
894
신라 진성여왕 8
최치원, 해인사에 은둔.
895
신라 진성여왕 9
궁예, 새 나라를 세움.
898
신라 효공왕 2
궁예, 팔관회 개시.
900
신라 효공왕 4
견훤, 후백제를 세움.
922
신라 경명왕 6
견훤, 미륵사탑 복구,선운사에서 승려 지도자 선출.
[고려시대]
918
태조 1
왕건 즉위, 팔관회 개시.
921
태조 4
이엄을 왕사로 책봉.
927
태조 10
발해 승려 재웅 등 고려에 망명.
936
태조 19
후삼국 통합, 개태사 세움.
958
광종 9
승과 개시.
961
광종 12
체관을 중국에 보내 천태종 서적 전함.
964
광종 15
균여를 귀법사 주지에 임명.
982
성종 1
최승로, 시무책에서 부패 불교 비판.
987
성종 6
팔관회 폐지.
1010
현종 1
팔관회 재개.
1011
현종 2
거란 침략 물리치기를 기원하여 대장경간행.
1067
문종 21
흥왕사 세움.
1070
문종 24
의천, 15세에 승통에 임명됨.
1085
선종 2
의천, 송나라에 몰래 건너가 다음해 귀국.
1086
선종 3
의천, 교장도감을 두어 속장경을 조판.
1090
선종 7
의천, 최초의 불교도서목록 `신편제종교장총록'작성.
1096
숙종 1
천태종을 열고 국청사를 세움.
1101
숙종 6
참사상 퍼뜨린 광기와 각진을 처벌.
1107
예종 2
여진 정벌, 옛땅 회복 투쟁에 승군참전.
1107
예종 2
함경도 정복지에 호국인왕사, 진동보제사 세움.
1129
인종 7
묘청 등, 칭제건원, 금나라 정벌 건의.
1131
인종 9
묘청, 서경 대화궁에 팔성당 지음.
1135
인종 13
묘청, 서경에서 혁명. 새나라 이름을 `대위'라고 함.
1170
의종 25
보현원에서 무신정변 폭발.
1174
명종 4
귀법사 승려 봉기, 개경 승려 반란, 왕정복고투쟁.
1176
명종 6
공주 명학소 민중봉기, 사찰습격.
1177
명종 7
서경 민중봉기, 담화사 근거로 투쟁, 승려들을 봉기군으로 징발함
1181
명종 11
농민봉기군, 왕실 원찰 봉은사 습격.
1190
명종 20
지눌, 정혜결사 조직.
1202
신종 5
대구 동화사, 부인사 승려들, 농민봉기에 참가.
1217
고종 4
최충헌 타도를 위한 승군 반란.
1231
고종 18
충주 노비해방투쟁 지도자 우본이 몽고침략군에 항쟁하여 물리침.
1232
고종 19
요세, 백련결사 조직.
1232
고종 19
우본이 이끄는 노비, 승군 2차 노비 해방 투쟁.
1232
고종 19
개경 노비, 승려 봉기.
1232
고종 19
김윤후, 처인성에서 몽고 원수 살리타이 사살.
1236
고종 23
강화도에서 대장경 새김. (1251년 완성)
1253
고종 40
김윤후, 노비군 이끌고 충주성 사수.
1275
충렬왕 1
일연, 삼국유사 저술.
1328
충숙왕 15
무기, 석가여래행적송 지음.
1348
충목왕 4
원 왕실의 장수,행복을 빌기 위해 경천사 대리석 탑 세움.
1356
공민왕 5
보우, 왕사가 되어 승직 임명 관장.
1365
공민왕 14
신돈, 국정의 전권을 맡아 개혁정치.
1366
공민왕 15
신돈, 전민변정도감 설치, 권문세족이 강탈한 토지 환수, 노비해방.
1371
공민왕 20
신돈 처형후 보우를 국사로, 혜근을 왕사로 책봉.
1388
우왕 14
신조, 이성계의 참모로써 위화도 회군에 주요 역할.
1388
창왕 1
이성계 심복 조인옥, 불교배척 상소.
1391
공양
3 박초,김초 등 불교배척 상소 잇따름.
[조선시대]
1392
태조 1
도첩제 강화로 승려 출가 억제. 무학을 왕사로 임명.
1402
태종 2
사찰 토지 몰수 시작.
1406
태종 6
사찰 수 제한 조치.
1406
태종 6
성민 등 탄압조치 시정 호소.
1406
태종 6
해선, 지붕개량사업 자청.
1424
세종 6
불교종파 통폐합 조치.
1427
세종 9
천우 등 온천치료 기금 설치 청원.
1433
세종 14
태평관 짓는 일에 승려 동원.
1461
세조 6
간경도감을 두어 주요 경전 번역,간행.
1464
세조 9
왕실 원찰 원각사 세움.
1471
성종 2
염불소 금지.
1492
성종 23
도첩제 폐지, 무단출가 승려 환속조치.
1503
연산군
10 승과 폐지.
1516
중종 11
사찰 토지,노비 몰수.
1535
중종 30
태안반도 운하 공사에 승려 동원.
1550
명종 5
보우 등용, 불교 부흥.
1552
명종 7
도첩제,승과 부활.
1559~
명종 14~17
임꺽정의 봉기. 1562
1565
명종 20
보우, 제주도에 유배되어 살해됨.
1566
명종 21
도첩제,승과 폐지. 승려 출가 금지
1589
선조 22
정여립의 혁명 모의에 구월산,지리산, 송광사 불교 세력 참가.
1592
선조 25
일본의 침략에 맞서 의승군이 일어남. 공주 의승군의 청주성 탈환, 휴정의 전국 승군 조직.
1593
선조 26
의승군, 평양성 탈환, 행주산성 전투에 참가
1593
선조 26
윤눌 등 의승군, 이순신의 수군에 참여
1597
선조 30
의승군, 울산,석주관 전투 참가.
1598
선조 31
의승군과 수군 협동작전으로 노량대첩.
1598
선조 31
이몽학의 민중봉기에 승려들 참가.
1604
선조 37 .
유정, 일본에 가서 강화회담, 포로 송환
1623
인조 1
승려 도성 출입 금지.
1624
인조 2
평양성 재건에 승려들 동원.
1627
인조 5x
평양성 재건에 승려들 동원.
1636
인조 14
청이 침략하자 각성, 의승군 일으킴.
1669
현종 10
대흥사에 휴정의 사당 표충사세움.
1688
숙종 14
여환의 미륵혁명 운동.
1687~
숙종 13~23
장길산 유격대의 투쟁.
1696
숙종 22
뇌현 등, 안용복과 함께 일본에 건너가 울릉도 영토권 확인 소송.
1697
숙종 23
장길산과 연대한 민중불교혁명운동 발각.
1728
영조 4
이인좌의 반란에 지리산 승려들 참가.
1758
영조 34
황해도 농민들의 존경을 받던 `생불' 여인 처형 당함.
1763
영조 39
황해도 미륵신앙자 처형.
1785
정조 9
함경도 거사 집단과 미륵교도의 봉기모의.
1785
정조 9
용파, 관리들의 사찰 수탈 시정 호소.
1826
정조 26
백파, 선문수경 지음.초의,김정희와 논쟁.
1851
철종 2
성월, 구월산 봉기에 참가.
1867
고종 4
순성, 명화적을 조직하여 서울,경기의 양반 부호,관가 습격
1870
고종 7
이필제, 지리산 대원암을 근거로 혁명운동.
1892
고종 26
선운사 마애미륵불 비결사건.
1892
고종 26
승려출신 서장옥, 동학 삼례집회 주도.
1893
고종 27
서장옥, 서울에서 대자보 등으로 반외세운동 주도.
1893
고종 27
동학 보은집회 당시 남접진영에 호남 승려들 참가.
1894
고종 28
갑오농민 전쟁에 민중불교세력 참가.
1895
고종 32
일련종 승려과 옴. 승려의 도성 출입금지 해제를 청함.
1897
고종 34
승려 도성출입금지령을 해제함.
1899
고종 36
해인사 대장경을 인각하여 각 사찰에 분배함. 동대문밖 원흥사를 세움.
1902
고종 39
원흥사를 대법산으로 삼고, 사찰령36조를 정함.
1908
순종 2
원종종무원을 건립함. 이회광을 대종정으로 임명함.
1910
순종 4
승려들의 취처의 자유를 의논함. 임제종을 창설함.
[일제시대]
1911
임제종 종무원을 설립. 사찰령 시행규칙을 분류함. 30본사를 설정함.
1912
조선불교선교양종 종무원을 설치하고, 각황사를 중앙포교당으로 함.
1913
스리랑카승려 달마파라가 옴. 불교흥릉회를 발족함.
1917
불교진흥회를 설립.
1920
불교청년회를 설립.
1921
조선불교선교양종 중앙총무원을 설립.
1922
불교유신회를 만듬. 사찰령 폐지 등을 조선총독부에 제출.
1924
불교 지 창간. 원종호법회를 설립.
1927
조선불교중흥회를 설립. 금강산 유점사에서 금강불교청년회를 설립.
1928
사법개정. 각사에 평의원회를 설치. 불교 시찰단을 일본으로 파견함.
1929
전국승려대회를 개최함.
1931
각황사에서 조선불교청년동맹의 발기대회를 개최함.
1936
해인사 대장경을 인각함.
1942
조계종법을 발포.
1945
사찰회. 조계종 총본산, 태고사법등의 폐지를 결의.대한민국 불교신종단의 출발
1946
대한민국 성립.
[대한민국]
1947
선학원에 조선불교 총본원설립(교정 장석상), 태고사 인도 요구.
1948
5월 제헌국회에 승려 출신 유성갑. 최범술 당선.
1948
6월 조선불교 제2대 교정에 방한암 추대.
1948
12월 조선불교 중앙총무원장에 박원찬 발령.
1949
9월 유엽. 한보순. 장도환 등 총무원에 난입. 원장 박원찬 등을 감금. 사직 강요
1949
10월 제3대 총무원장에 김구하 취임.
1950
5월 제2대 국회에 승려 출신 이종욱. 허영호. 박성하 당선 진출.
1950
6월 인민군을 따라서 남하한 김해진에 의해서 총무원이 점령당했으나 곧 수복.불교계 주요인사 납북됨.
1952
7월 제4대 총무원장에 이종욱 취임.
1954
5월 이승만대통령 제1차 정화유시 발표.
1954
6월 조선불교를 대한불교 조계종으로 개칭
1954
6월 불교정화운동 발기인대회 개최
1954
11월 비구측 태고사 강제 점거. 대처승 축출
1962
5월 불교재산관리법 제정 공포
1962
9월 통합종단 결렬
1970
4월 대처승측, 한국불교태고종으로 독자노선을 선언.
1980
10월 계엄사령부, 조계종 총무원 및 전국주요 사찰에 계엄군 투임. 10.27법란.
1986
6월 정토구현 전국승가회 창립
1986
8월 조계종 제 25대 총무원장 서의현 취임.
1988
불교재산관리법 폐지, 분종과 창종 사태(30개 가량의 신생 불교 종단 출현)
1993
11월 조계종 종정 성철스님 입적
[네이버 지식백과] 불교연대표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불교설화),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GGJS-불교역사(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사 연대표 (0) | 2014.12.24 |
---|---|
인도불교 연대표 (0) | 2014.12.24 |
84번, 무차대회 無遮大會 - 梁 武帝와 소명태자, 불교설화 (0) | 2014.12.24 |
82 번, 삼무일종 법난 三武一宗 法難 (0) | 2014.12.24 |
81번, 삼계교, 백련교 (0) | 2014.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