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2교시] | |||||
| |||||
성명 |
|
수험번호 |
|
감독관 확 인 |
|
1. 대한불교조계종 신도품계의 순서를 바르게 열거한 것은?
① 발심-부동-선혜-행도
② 발심-행도-부동-선혜
③ 행도-발심-선혜-부동
④ 부동-행도-발심-선혜
2. 재가불자가 수지해야 하는 오계(五戒) 중 첫 번째 덕목은 무엇인가?
① 살생하지 말라.
② 주지 않은 남의 물건을 훔치지 말라.
③ 사음하지 말라.
④ 거짓말을 하지 말라.
3. 다음은 『법구경』「제5 우암품(愚闇品)」에 나오는 내용이다. 그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잠 못드는 사람에게 밤은 길고 피곤한 나그네에게 길이 멀 듯이,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에겐 생사의 밤길은 길고도 멀어라.” |
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바른 진리를 탐구해야 한다.
② 행복에 이르는 길은 내 안에 있음을 알아야 한다.
③ 진리를 깨닫고 행하면서 사는 삶은 자유롭고 행복하다.
④ 존재하는 모든 것과 행위는 과거 전생의 업(業)이기에 어쩔 수 없다.
4. 다음 중, 부처님의 최초 재가 신도는 누구인가?
① 교진여 ② 야사의 부모
③ 빔비사라왕 ④ 유마거사
5. 부처님의 10대 제자 중 천안제일(天眼第一)로 불렸던 비구로서, 부처님의 사촌 동생이었던 수행자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샤리푸트라 ② 데바닷타
③ 아누룻다 ④ 슛도다나
6. 기타(祇陀) 태자가 소유하고 있던 숲을 구입하여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을 지어서 부처님께 헌납한 것으로 유명한 사람은 누구인가?
① 아난다(Ānanda) ② 수닷타(Sudatta)
③ 수부티(Subhūti) ④ 앗사지(Assaji)
7. 다음은 부처님께서 슈로나 비구에게 준 가르침이다. 괄호 속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수행은 마치 악기를 연주하듯 해야 한다. 현을 너무 조이거나 너무 느슨해도 좋은 소리가 나지 않듯이 진리의 길도 그와 같다. 너무 조급히 서두르지 말고 너무 나태하지 않고 항상 ( ㉠ )의 길을 걸으면 언젠가 이 속세의 ( ㉡ )에서 벗어나게 될 것이다. |
㉠ − ㉡ ㉠ − ㉡
① 중도 − 미혹 ② 염불 − 중생
③ 염불 − 미망 ④ 중도 − 진흙
8. 결혼하여 외도에 빠져 있던 시댁을 교화시킨 것으로 유명하고, 시아버지가 며느리에게 “네가 내 어머니”라고 하여, 녹자모(鹿子母)라는 별칭을 가졌던 여인의 이름은?
① 비사카 ② 아난다
③ 난다 ④ 우파난다
9. 부처님께서 세상을 떠난 뒤에 결집이 이루어졌고, 그때 경장과 율장을 암송해 내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두 비구의 이름은 누구인가?
① 마하카쉬야파 − 도나 ② 아난다 − 우팔리
③ 도나 − 아난다 ④ 우팔리 − 마하카쉬야파
10. 다음 중, 여래(如來)라는 부처님의 호칭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의 법은 시방삼세에 변함없이 있음을 말한다.
② 부처님의 생애는 열반에 든 것으로 끝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③ 부처님의 법은 다른 여러 부처님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상징하고 있다.
④ 석가모니 부처님만이 가장 위대한 존재라는 의미이다.
11. 부처님이 활동하셨던 당시의 인도 사회는 사상적으로나 종교적으로 극심한 혼란 속에 휩싸여 있었다. 다음 중 불교가 발생할 당시 부처님이 비판한 인도의 사회사상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신의론(神意論) ② 숙명론(宿命論)
③ 연기론(緣起論) ④ 우연론(偶然論)
12. 부처님은 내세나 영혼의 유무와 같은 형이상학적인 질문에 대해서는 침묵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대신하셨다, 다음 중 이러한 부처님의 침묵을 일컫는 말은?
① 무기(無記) ② 무처(無處)
③ 무아(無我) ④ 무념(無念)
13. 다음은 초기경전에서 언급한 일체법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5온(五蘊)은 물질현상인 색(色)과 정신현상인 수상행식(受想行識)을 말한다.
② 12처란 6가지 감각기관과 6가지 감각대상을 합친 것을 말한다.
③ 18계란 일체의 존재를 인식기관과 인식대상, 그리고 인식작용으로 분류한 것을 말한다.
④ 5온, 12처, 18계를 설하신 목적은 물질과 정신이 영구불변함을 확인시켜주기 위함이다.
14. 다음 중, 불교의 교리를 설명한 것으로 거리가 먼 것은?
①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은 불교에만 한정되지 않는 보편적인 진리이다.
② 모든 것은 독자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상호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③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도의 가르침이다.
④ 엄격한 고행을 통해서만 우주의 존재자인 브라만과 아트만이 합일할 수 있다.
15. 다음 중, 불교에서 보는 존재의 실상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절대적 존재로 고정 불변한다.
② 연기의 존재로 무상, 무아이다.
③ 일체는 고이며, 해결할 수 없다.
④ 일체는 시간, 공간을 초월하는 절대자의 것이다.
16. 연기(緣起)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인연법과 다를 바 없다.
② 인과법과 같다.
③ 세상 모든 것의 상호 관계 작용을 강조한다.
④ 세계의 현상적 관계에만 적용된다.
17. 사성제의 설명으로서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제1 고제(苦諦) ; 미혹의 세계는 모든 것이 고통이라고 하는 진리.
② 제2 집제(集諦) ; 뭐든지 모으고 쌓아 두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는 진리.
③ 제3 멸제(滅諦) ; 뭐든지 없애 버리려는 습관을 버려야 한다는 진리.
④ 제4 도제(道諦) ; 도 닦는 고통을 바르게 알아야 한다는 진리.
18. 초기 불교 교단에서 최고의 깨달음을 얻었다고 여겨지는 성자의 지위를 가리키는 말은?
① 사다함 ② 아나함
③ 수라한 ④ 아라한
19. 부파 불교 시대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출가주의를 엄격하게 고수하였다.
② 스승을 따라서 소속된 부파가 결정되기 마련이었다.
③ 떠돌아다니며 포교에 열중하던 시기였다.
④ 부파에 따라 승복의 색깔을 달리하기도 하였다.
20. 불멸 후 100년경, 아난다의 제자였던 야사비구의 주도로 바이샬리에서 이루어졌으며, 주로 계율에 대한 해석상의 차이를 문제 삼았던 결집은?
① 1차 결집 ② 2차 결집
③ 3차 결집 ④ 4차 결집
21. 소승과 대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대승 불교 쪽에서는 소승 불교 쪽을 폄하했다.
② 대승 불교에서는 힌두교의 신앙 형태를 다양하게 수용했다.
③ 소승 불교 쪽에서는 대승 불교 쪽을 존경했다.
④ 대승에서는 소승 불교와 다른 독자적인 경전을 편찬했다.
22. 이 사람은 1989년 세계참여불교연대를 설립해서 ‘불교의 가르침으로 세상 바꾸기’를 시도한 사람이다. ‘신자유주의 반대’와 ‘지속가능한 개발’, 그리고 ‘평화운동’ 등 사회참여를 통한 불교 포교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이 사람은 누구인가?
① 미얀마의 아웅산 수지 ② 태국의 슐락 시바락사
③ 베트남 출신의 틱낫한 ④ 티베트의 달라이 라마
23. 치우치고 그릇된 미망(迷妄)을 떠나 지혜를 터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주장했던 대승 사상은?
① 유식(唯識) 사상 ② 보시(布施) 사상
③ 중관(中觀) 사상 ④ 중화(中華) 사상
24. 다음 중, 현상계가 그대로 진리라는 법계연기(法界緣起)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사법계 ② 이법계
③ 사사무애법계 ④ 일법계
25. 불성(佛性, buddhatva)에 대한 설명으로서 잘 들어맞는 말은?
① 소승불교의 기본 개념으로서 부파시대 때 가장 중요시되었다.
② 중생에게 본래부터 갖추어진 부처될 성품을 가리킨다.
③ 부파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던 개념이 불성이다.
④ 깨달아야만 갖게 되는 특성이 불성이다.
26. 중생이 사는 이 세상이 바로 온갖 아름다운 꽃으로 가득한 법계라는 뜻을 담은 단어는 무엇인가?
① 수다라해(修多羅海) ② 보현중(普賢衆)
③ 화엄장(華嚴藏) ④ 보장엄(寶莊嚴)
27. 문수보살이 사자를 타고 다닌다면, 보현보살은 무엇을 타고 다니는가?
① 기린 ② 코뿔소
③ 사자 ④ 코끼리
28. 대승 보살이 보시를 할 때 반드시 갖추고 점검해야 할 바라밀은 무엇인가요?
① 정진바라밀 ② 선정바라밀
③ 인욕바라밀 ④ 반야바라밀
29. 종파의 성립 당시부터 지금까지도 변함없이 가장 많은 사람들이 믿고 따르는 정토신앙을 담고 있는 경전은?
① 법화경(蓮華經) ② 열반경(涅槃經)
③ 가치나경(迦絺那經) ④ 무량수경(無量壽經)
30. 다음 중, 중국 선종의 발달사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① 달마, 혜가, 승찬, 도신, 홍인을 거쳐 발전하였다.
② 홍인 이후 신수와 혜능에 의해 북종과 남종으로 나누어졌다.
③ 북종은 돈오선, 남종은 점수선을 각각 선양하였다.
④ 남종 계통인 마조의 홍주종에 이르러 조사선의 생활종교로 발전하였다.
31. 중국 송나라 시대 『서장(書狀)』을 지어 간화선을 체계화한 선사는 누구인가?
① 대혜종고 ② 무문혜개
③ 임제의현 ④ 고봉원묘
32. 참선수행은 알음알이를 쉬는 것이라고 하는데, 다음 중 알음알이라 할 수 없는 것은?
① 이것은 옳고 저것은 그르다
② 이것은 맞고 저것은 틀리다
③ 이것은 이익 되고 저것은 손해다
④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
33. 다음 중, 참선 이전의 관법수행으로 탐욕이나 애욕이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인생의 무상함을 깨우치게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는 수행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① 부정관 ② 자비관
③ 인연관 ④ 수식관
34. 위빠사나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본래 인도나 상좌부불교의 수행법이었지만 지금은 많은 나라에 퍼져있다.
② 어원적 의미로 ‘꿰뚫어 봄’,‘통찰’을 뜻하며 한문으로는 관법(觀法)이라 번역한다.
③ 한자로는 지(止)로 번역되며 마음을 어느 한 곳에 집중하는 수행법이다.
④ 모든 것이 무아(無我)이고 무상(無常)임을 꿰뚫어 보고 알아차리는 수행법이다.
35. 다음 중, 화두 드는 방법으로 바른 것은?
① 말이나 생각으로 헤아려 보면서 화두를 든다.
② 반드시 호흡에 맞추어 화두를 들어야 한다.
③ 화두를 대상으로 논리적으로 관해 나가야 한다.
④ 화두와 나 사이에 빈틈이 없어야 한다.
36. 한국에 불교의 수행법인 선(禪이) 본격적으로 전래된 시기는?
① 신라 초기 ② 신라 말
③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 ④ 고려 말
37. 원효스님이 널리 알린 『화엄경』의 ‘일체무애인 일도출생사(一切無碍人 一道出生死)’란 구절에서 따왔다고 하는 이 노래의 제목은?
① 회심곡 ② 왕생가
③ 무애가 ④ 백발가
38. 사찰의 삼성각에 진영을 모셔 둔 곳이 있을 정도로 이름난, 고려 말 선풍을 떨친 대선사인 한국불교계의 삼화상(三和尙)이 아닌 분은 누구인가?
① 지공 ② 나옹
③ 무학 ④ 보우
39. 미국에서 현실적 불교를 일구고 있다는 평가를 받은 젠 피스메이커 오더((Zen Peacemaker Order, ZPO)의 정신과 목표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참선이나 명상 등 개인적 수행만 중시한다.
② ‘있는 그대로의 현실, 그 자체’를 화두로 삼고 수행한다.
③ 지역사회에 기여할 다양한 사회봉사 방안을 마련한다.
④ 사회단체 참여, 복지, 생명평화운동 등에 관심을 기울인다.
40. 다음 중,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자의 바람직한 태도라고 할 수 없는 것은?
① 나부터 바뀌면 세계가 바뀐다는 적극적인 생명관을 갖는다.
② 인간의 행복을 위해 자연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정책을 추진한다.
③ 모든 것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연기적 세계관을 갖는다.
④ 인간 생활의 기본적인 요소인 의식주 생활에서부터 근검절약을 생활화 한다.
41. 현 대한불교조계종의 종정과 총무원장 스님의 법명을 쓰시오.(4점)
종정 : ( ㉠ )스님, 총무원장 : ( ㉡ )스님
42. 대승보살이 중생을 대할 때 품어야 하는 마음 씀씀이인 사무량심에 해당하는 덕목을 쓰시오.(4점)
( , , , )
43. 부처님께서 사람들의 능력과 처지 등을 간파한 다음에 그 수준에 맞추어서 각기 설법해 주었던 방식을 일컫는 말은 무엇인가요? 사자성어(四字成語)로 쓰시오.(4점)
( )
44. 다음은 부처님의 최초 법문인 ‘초전법륜’의 내용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2자로 쓰시오.(4점)
“수행자여, 이 세상 사람들은 두 가지 극단으로 치우치는 길이 있느니라. 그 하나는 육체의 요구대로 자신을 내맡기는 쾌락의 길이고, 또 하나는 육체를 너무 지나치게 괴롭히는 고행의 길이다. 수행자는 이 두 극단을 버리고 ( )를 배워야 한다. |
( )
45.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등 북방 불교권에서 선종의 공안이나 화두를 통해서 수행자로 하여금 큰 의심을 일으키고 스스로 그 의심을 해결하여 깨달음을 얻게 하는 불교의 수행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4점)
( )
'포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0회 포교사 고시 응원을 다녀와서 ~~~ (0) | 2015.03.03 |
---|---|
하반기 연수를 마치면서 ~~~ (0) | 2014.12.01 |
제19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1교시] (0) | 2014.10.22 |
사찰 신도들에게 할 교육내용 (0) | 2014.10.21 |
불교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