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1교시] | |||||
| |||||
성명 |
|
수험번호 |
|
감독관 확 인 |
|
1. 사찰을 참배할 때 예절로 잘못된 것은?
① 일주문이나 천왕문, 해탈문을 지날 때에는 법당을 향해 반배를 한다.
② 법당에 오르기 전 탑이 있는 경우에는 반배로 3배의 예를 올린다.
③ 탑을 돌며 기도할 때는 왼쪽 어깨가 탑을 향하도록 하고 돈다.
④ 역대 조사 스님의 부도(浮屠)를 지날 때에는 반배를 한다.
2. 각 전각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① 미래의 부처님을 모신 전각을 자씨전(慈氏殿)이라고 한다.
② 팔상도를 봉안한 곳을 팔상전이라 하며, 법주사의 팔상전이 유명하다.
③ 아라한과를 성취한 성자들인 나한을 모신 곳을 응진전(應眞殿)이라고도 한다.
④ 중생의 병고를 치유해 주는 부처님을 모신 법당을 영산전이라고 한다.
3. 팔부중(八部衆)의 하나로, 수미산 남쪽의 금강굴에 살면서 제석천(帝釋天)의 아악을 맡아본다는 신(神)으로 향(香)만 먹고 공중으로 날아다닌다고 하는 이 신의 이름은?
① 가루라(迦樓羅) ② 건달바(乾闥婆)
③ 아수라 (阿修羅) ④ 긴나라(緊那羅)
4.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 인쇄물인 『무구정광대다라니』가 발견된 탑은?
① 불국사 석가탑 ② 불국사 다보탑
③ 감은사지탑 ④ 분황사모전석탑
5. 불탑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탑은 산스크리트어로 스뚜빠(stūpa) 또는 빨리어로 뚜빠(thūpa)라고 한다.
② 불탑의 기원은 부처님 입멸 당시의 경전 기록에서 찾을 수 있다.
③ 우리나라에서는 목탑, 중국에서는 석탑, 일본에서는 전탑이 발달했다.
④ 여덟 나라의 국왕들이 부처님의 사리를 8등분해 자신들의 나라로 가지고 가서 탑을 세웠다.
6. 석가모니의 부촉을 받아, 그가 입멸한 뒤 미래불인 미륵불(彌勒佛)이 출현하기까지의 무불(無佛)시대에 중생을 교화·구제한다는 보살로 지옥에서 고통 받고 있는 모든 중생을 제도하기 전에는 결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을 세운 보살은?
① 보현보살 ② 지장보살
③ 문수보살 ④ 관세음보살
7. 관세음보살상에 대한 설명과 관련 없는 것은?
① 자비를 상징하는 보살이다.
② 명부전에 봉안된다.
③ 손에는 연꽃이나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
④ 11면 또는 천수천안(千手千眼)의 모습도 있다.
8. 보살상은 대체로 머리에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데, 관세음보살의 정수리와 지장보살이 들고 있는 육환장(六環杖)의 정수리 부분에 모셔진 부처님상은?
① 석가모니불의 화현 ② 비로자나불의 화현
③ 미륵불의 화현 ④ 아미타불의 화현
9. 사찰 전각의 벽에 그려 넣는 그림으로 수행자가 정진을 통해 본성을 깨달아가는 과정을, 잃어버린 소를 찾는 일에 비유해서 그린 선화(禪畵)는?
① 심우도 ② 감로도
③ 변상도 ④ 탱화
10. 다음은 우리나라 사찰에서의 스님의 소임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회주(會主) :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 또는 하나의 회(會, 一家)를 이끌어 가는 큰 어른스님을 말한다.
② 조실(祖室) : 선(禪)종에서 정신적 지도자로 모셔진 스님을 말한다.
③ 주지(住持) :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을 말하는 선종의 용어이다.
④ 방장(方丈) : 모든 교구본사 사찰의 큰 어른스님을 말한다.
11. 다음 중, 주불로 모신 부처님과 법당의 이름을 짝 지은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석가모니불 - 대웅전 ② 비로자나불 - 대적광전
③ 미륵불 - 원통전 ④ 아미타불 - 무량수전
12.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에 대한 설명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석가모니불의 성도를 상징하는 수인이다.
② 녹야원에서의 첫 설법을 상징하는 수인이다.
③ 경주 석굴암의 부처님은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다.
④ 선정인에서 왼손은 그대로 두고, 오른손으로 땅을 가리키는 모습이다.
13. 불전사물(佛殿四物)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① 조석 예불 때 치는 법고, 운판, 목어, 범종의 네 가지 법구를 말한다.
② 법고(法鼓)는 법을 전하는 북이라는 뜻으로 짐승세계의 중생들을 깨우치는 목적이 있다.
③ 운판(雲板)은 청동이나 철로 만든 넓은 판으로, 물에 사는 모든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④ 범종(梵鐘)은 조석 예불과 사찰의 큰 행사 때 사용하며, 범종을 치는 근본 뜻은 천상과 지옥을 중생을 제도하기 위함이다.
14. 일반적으로 법당은 상단, 중단, 하단의 삼단 구조로 되어 있는데, 각 단에 모셔진 분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상단 - 감로탱화,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부처님과 보살상
② 상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중단 - 부처님과 보살상, 하단 - 감로탱화
③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감로탱화, 하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④ 상단 - 부처님과 보살상, 중단 - 제석천과 팔부신장, 하단 - 감로탱화
15. 부처님이 지상에 출현하시기 전에 머물렀던 곳으로, 이곳의 내원궁은 장래 부처가 될 보살의 주거지이며 욕계의 6천 가운데 제4천이다. 이곳은 어디인가?
① 도솔천(兜率天) ② 사천왕천(四天王天)
③ 도리천(忉利天) ④ 야마천(夜摩天)
16. 싯닷타 태자의 출가 동기를 가장 바르지 않게 설명한 것은?
① 천상에 태어날 복덕을 짓기 위해서
② 왕궁의 화려한 생활에 환멸을 느껴서
③ 생로병사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④ 당시의 풍습에 따라 수행을 경험하기 위해서
17. 다음은 불교의 진리, 즉 법(法)에 대하여 설한 『잡아함경』말씀이다.
|
“법은 세존에 의해 잘 설해졌나이다. 이 법은
|
|
“법은 세존에 의해 잘 설해졌나이다. 이 법은
|
③ 무상, 업보, 해탈 ④ 현실, 과보, 열반
18. 다음 중 삼독심(三毒心)과 삼학(三學)의 관계를 바르게 설 명한 것은?
① 탐욕은 청빈하고 맑고 깨끗한 생활인 계(戒)로 다스린다.
② 화는 급히 올라오는 마음을 잠재우는 지혜(智慧)로 다스린 다.
③ 어리석음은 자신은 텅 빈 무아로 보는 선정(禪定)으로 다 스린다.
④ 탐욕, 화, 어리석음을 흔히 깨달음을 방해하는 삼학이라고 한다.
19. 부처님의 초기 제자들은 일일이 규제하지 않아도 마땅히 지켜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할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출가 생활의 기본 방침으로 4의지(依止)를 알려주셨다. 이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정사(精舍)에서 만든 음식에 의지하라.
② 분소의(糞掃衣)를 입는 생활에 의지하라.
③ 진기약(陳棄藥)을 사용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④ 나무 아래에서 좌선하는 생활에 의지하라.
20. 다음 중, 비구(比丘, Bhikṣu)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① 20세 이상이어야 한다.
② 348계의 구족계를 받으며, 걸사(乞士)라고도 한다.
③ 걸식생활은 불교에서 처음 생겨난 생활풍습이다.
④ 오계와 팔계를 받아 지닌 남자 재가불자를 말한다.
21. 재가불자가 수지해야 하는 계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 삼귀의와 오계 ㉡ 사미10계 ㉢ 보살계 ㉣ 십선계 ㉤ 비구250계 ㉥ 식차마나계 |
① ㉠ ㉡ ㉤ ② ㉡ ㉤ ㉥
③ ㉠ ㉢ ㉣ ④ ㉢ ㉣ ㉥
22. 다음은 부처님께 예불을 올릴 때 봉송하는 예불문이다. ( )에 들어 갈 말이 틀린 것은?
지심귀명례 삼계도사 사생자부 시아본사 ( ㉠ )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불타야중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달마야중 지심귀명례 대지문수 사리보살 대행보현보살 대비관세음보살 대원본존( ㉡ )마하살 지심귀명례 영산당시 수불부촉 ( ㉢ ) 십육성 오백성 독수성 내지 천이백제대아라한 무량자비성중 지심귀명례 서건동진 급아해동 역대전득 제대조사 천하종사 일체미진수 제대선지식 지심귀명례 시방삼세 제망찰해 상주일체 ( ㉣ ) 유원 무진삼보 대자대비 수아정례 명훈가피력 원공법계제중생 자타일시성불도 |
① ㉠ 석가모니불 ② ㉡ 미륵보살
③ ㉢ 십대제자 ④ ㉣ 승가야중
23. 다음 중, 관불의식(灌佛儀式)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중국에서 부처님의 탄생일에 독창적으로 만든 의식이다.
② 부처님에 대한 공경을 표시하고 심신을 청정하게 하는 의식이다.
③ 인도의 국왕 즉위 시 바닷물을 정수리에 뿌려 축하한 의식에서 비롯되었다.
④ 후에 일정한 지위에 오르는 수도자의 정수리에 향수를 끼얹는 의식으로 변형되었다.
24. 다음의 보기는 새벽 예불 시간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서를 바르게 나열된 것은?
도량석, 축원, 칠정례, 반야심경, 종성 |
① 도량석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종성
② 종성 - 축원 - 칠정례 - 반야심경 - 도량석
③ 도량석 - 종성 - 칠정례 - 축원 - 반야심경
④ 종성 - 칠정례 - 반야심경 - 축원 - 도량석
25. 부처님께 예불을 드릴 때 봉송하는『반야심경』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
① 보시 바라밀 ② 지계 바라밀
③ 인욕 바라밀 ④ 지혜 바라밀
26. 다음은 천수경에 나오는 진언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참회진언 :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
② 개법장진언 : 옴 자례 주례 준제 사바하 부림
③ 정법계진언 :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④ 호신진언: 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27. 다음은 전통적으로 사찰에서 불자들이 지켜야 할 10재일이다.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8일 - 미타(彌陀)재일 ② 15일 - 약사(藥師)재일
③ 24일 - 관음(觀音)재일 ④ 30일 - 지장(地藏)재일
28. 살아 있는 사람이 자신의 사후를 위해 미리 수행과 공덕을 닦아두는 재의식은?
① 7․7재 ② 영산재
③ 수륙재 ④ 예수재
29. 부처님이나 보살님의 명호와 모습을 끊임없이 마음에 집중함으로써 번뇌와 망상을 없애 깨달음을 이루고 불국정토에 왕생하는 불교의 수행방법은 무엇인가?
① 참선(參禪) ② 염불(念佛)
③ 간경(看經) ④ 주력(呪力)
30. 불교의 계율에 관한 경전을 인도로부터 직접 전해와 번역하여 백제 율종의 기원을 이룩한 분은?
① 겸익 ② 의상
③ 혜초 ④ 승랑
31. 다음 중, 원효대사와 관계없는 것은?
①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의 도리를 깨닫고 유학길을 포기하였다.
② 노래하고 춤을 추며 부처님 법을 일반서민들에게 전하였다.
③ 『금강삼매경』과 「법성게」등을 지었다.
④ 화쟁사상(和諍思想)을 정립했다.
32. 다음 중, 신라하대에 선종의 유입과 관련이 깊은 조형물은?
① 승탑(부도) ② 당간지주
③ 석등 ④ 불탑
33. 고려 시대 보조국사 지눌스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정혜결사(定慧結社)를 결성하여 새로운 수행풍토를 진작했다.
② 수심결, 직지심경요절 등을 지었으며 삼문 수업을 내걸었다.
③ 선과 교의 조화를 도모하고자 했다.
④ 대한불교조계종의 중천조이다.
34. 조선시대 때 시행된 승려의 도성출입금지가 해제된 시기는 언제인가?
① 서기 1890년 ② 서기 1895년
③ 서기 1900년 ④ 서기 1905년
35. 근대에 들어 사대문 안에 각황사 포교당을 짓는 등 전국사찰의 대표스님들이 건설한 최초의 종단은 어느 것인가?
① 임제종 ② 사사관리서
③ 조계종 ④ 원종
36. 3 ․ 1 독립선언에 참여하여 서명한 불교계 대표를 바르게 연결된 것은?
① 손병희, 최린 ② 한용운, 백용성
③ 박한영, 오성월 ④ 백성욱, 김법린
37. 조계종의 ?포교법?에서 밝힌 포교의 원칙과 방침이 아닌 것은?
① 수행정진(修行精進) ② 사교입선(捨敎入禪)
③ 정토구현(淨土具顯) ④ 수계청정(受戒淸淨)
38. 다음 중,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은 무엇인가?
① 금강경, 전등법어 ② 화엄경, 전등법어
③ 금강경, 육조단경 ④ 법화경, 전등법어
39. 대한불교조계종에는 몇 개의 교구본사가 있는가?
① 24개 ② 25개
③ 28개 ④ 30개
40. 신도법에서 대한불교조계종의 신도등록 시기는 언제인가?
① 사찰에 축원 카드를 작성한 후
② 사찰의 정기법회에 참석한 후
③ 성지순례를 다녀온 후
④ 삼귀의와 오계 수계를 받은 후
41. 스승에 대한 존경의 표시로 수계식이나 포살(布薩), 자자(自恣)할 때 무릎을 바닥에 대고 다리를 세운 채 합장하는 자세를 가리키는 말은?(4점)
( )
42. 부처님에 대한 지극한 마음을 더욱 더 간절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예배의 마지막 끝에 머리를 조아려 무수히 예경하고픈 간절한 심정의 아쉬움을 표하는 예법을 무엇이라 하는가?(4점)
( )
43. 중국 당나라 때 총림을 개설하면서 선문의 규칙을 제정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선원에서 결제 때나 큰일을 치를 때에 소임과 그 소임을 맡은 스님의 법명을 적을 방(榜)을 큰 방에 붙이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4점)
( )
44. 뭍(땅)과 물에 공양을 베풀어 일체 중생을 위로하고 구제하기위해 불법을 강설하고 승보께 공양을 올리는 불교의식으로 최근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4점)
( )
45. 조사스님이 쓴 어록으로 경전의 반열에 이른 경전이며, 조사선 창립선언서로서의 역할을 한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4점)
( )
'포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반기 연수를 마치면서 ~~~ (0) | 2014.12.01 |
---|---|
제19회 포교사 자격고시 문제지 [제2교시] (0) | 2014.10.22 |
사찰 신도들에게 할 교육내용 (0) | 2014.10.21 |
불교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덕목 (0) | 2014.10.21 |
설법 시 주의사항 (0) | 201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