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이점 >
49재 : 명부시왕 중, 7명의 대왕이 7일씩 심판하고, 죄업이 큰 망자는 100일, 1년, 3년째까지 심판한다.
합동 천도재 ( 예, 백중 ) : 1년에 한 번씩, 전국 사찰에서, 음력 7월 15일 하안거 해제일이 백중이다.
차이점 : “좋은 곳으로 가시라”는 공통점과 십왕의 “재판유무”의 차이점이 있다.
사후 49일 “이전”에는 49재이고, “그 후”에는 천도재가 된다.(개인.합동)
< 49재의 의미 >
1번째 ~ 6번째까지 시왕의 심판에서 지옥에 떨어지지 않게 하고, 7번째 심판에서 좋은 결과를 위해 기도.
망자를 위해서 49재를 올린 그 공덕으로, 그 자손들은 福을 받는다.
< 백중의 의미 >
百衆(=스님)이나 百種(=음식) 의미, 七七齋
백중은 돌아가신 조상 영가들에게 직접 공양을 올리는 것이 아니다.
여러 스님들께 갖가지 음식공양을 올린다는 의미이다.( 목련존자 이야기 참조 )
그 공덕으로 살아계신 부모님과 돌아가신 조상 영가들이 좋은 곳으로 간다.
매년 음력 7월 15일 ( 하안거 해제 날 ) 백중회향
우란분절(재) : 우란분 = 거꾸로 매달린, 齋 = 재계, 베푼다
가난한 사람들에게 널리 베풀어서, 거꾸로 매달려 고통 받는 영가를 구제한다.
< 오늘날의 의미 >
가난한 사람(약자)에게 음식공양을 올려 큰 공덕을 지음으로써 업장이 두터운 조상 영가를 천도
( 좋은 곳으로 )한다.
배고픈 자에게 음식을, 병든 이에게 약을, 아이에게 배움을, 어린이와 노인봉양을 보살핌.(자연순리)
< 목련존자 이야기 >
우란분경
10대 제자 신통제일, 인도, 상속, 무역, 도축업, 민원.소문, 별세, 출가, 사후 지옥, 거미, 공양
< 지장전과 명부전의 관계 >
고려시대까지는 "지장전"과 "시왕전"으로 사용하다가 유교의 조선시대에 들어서 이들을 통합하여
"명부전"이라고 하였다.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효도를 강조하는 조선시대 유교문화의 불교에 대한
비난을 피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는 공간으로 명부전을 사용하였고, 사찰살림살이를 줄이기 위해서
통합하였다. 시왕전은 중국 도교의 문화에서 유래하였다.
우중에 화천법회를 다녀와서....... 원경합장_()_
'불교상식과 예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에서 불심이 가장 높은 지역은 ? (0) | 2008.02.29 |
---|---|
불기 연대 표기법 정정( 조계종단 ) (0) | 2008.02.29 |
불교식 차례 식순( 명절 차례 식순 ) (0) | 2007.09.09 |
거리에 다는 오색등 모습 (0) | 2007.04.21 |
정법시대와 말법시대 (0) | 2007.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