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교리

육바라밀

圓鏡 2006. 8. 20. 22:54

대승경전의 대표적인 교리인 육바라밀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간략하게 정리해본다.

 

육바라밀이란?  보살이 부처님이 될 수 있는 여섯 가지 실천덕목으로 불교의 핵심인

지혜와 자비를 골고루 갖추고 있다. 또한 석가모니 부처님이 인간 세계에 오기 전에

도솔천에서 보살로 계셨는데, 이 육바라밀에 의지하여 수행을 한 결과 부처님이 되

셨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 여섯 가지의 바라밀은 생사윤회의 바다를 건너 깨달음의

세계로 가기 위한 뗏목과 같은 것이다.

 

육바라밀이란 곧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를 말한다. 그리고 바라밀(波羅

蜜)이란 어원은 산스크리트어 파라미타(paramita)를 한어로 음역한 것으로써 '완성'

이라는 뜻과 '피안(깨달음의 세계)에 이르게 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첫 번째 바라밀인 [보시 바라밀]의 경우, 보시의 완성 혹은 보시를 통해서 깨달음에

이른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보시란 다른 사람에게 뭔가를 베푸는 것을 말한다. 보시에는 재시, 무외시, 법시가

있다. 재시는 중생들에게 재물을 베풀어 주는 것을 말하고, 무외시는 중생들에게

두려움을 없애고 마음에 평온함을 주는 것이며, 법시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해주는

것을 말한다.

 

특히, 무외시(無畏施)의 경우 상대방이 마음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경전의

말씀을 인용하거나 경구를 응용해서 들려준다. 이러한 결과 상대방이 마음의 갈등

이나 고통에서 벗어나게 되면, 이것이 바로 무외시이다.

 

혹자의 해석에 따라서는 육바라밀 중에서도 보시 바라밀이 대표성을 가지거나 혹은

나머지 다섯 가지 바라밀도 첫 번째 바라밀인 보시 바라밀에 귀속된다고 한다.

 

원경 20060820 

 

'불교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의 인간관( 轉 迷 開 悟 )  (0) 2006.10.28
불교의 정의( 佛 法 )  (0) 2006.10.28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뜻은?  (0) 2006.08.02
인연법과 마음공부 2  (0) 2006.08.02
인연법과 마음공부 1  (0) 2006.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