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가 [samgha, 僧伽]
= 삼보 중의 하나 = “삼귀의”노래에서 ‘승’( =승가, 상가 )
줄여서 승(僧)이라고도 한다. 부처와 불법(佛法)과 함께 3보(三寶)를 이룬다. 승가는 본래 '화합·공동체·조합' 등을 뜻하는 말인 산스크리트 상가(saṃgha)를 한자로 음역한 것이며, 중(衆)·화(和)·화합중(和合衆)·화합승(和合僧) 등으로 의역(意譯)되었다. 또 산스크리트와 한문을 함께 써서 승려(僧侶)·승단(僧團)이라고도 한다. 승가는 출가 수행자인 비구(比丘 bhikṣu)·비구니(比丘尼 bhikṣunῑ)와 남녀재가신도인 우바새(優婆塞 upāsaka)·우바이(優婆夷 upāsikā) 등의 사부대중(四部大衆)으로 구성되지만, 보다 넓은 의미에서는 20세 미만의 출가수행자인 사미(沙彌 śrāmaṇera), 사미니(沙彌尼 śrāmaṇerῑ), 사미니에서 비구니가 되기 전 단계인 식차마나(式叉摩那 śikṣamāṇā) 등의 칠중(七衆)을 포함하는 불교교단 전체를 가리킨다.
'불교용어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님’에 대한 호칭 (0) | 2014.03.03 |
---|---|
사방승가와 현전승가 (0) | 2014.03.03 |
원음( 옴 ), 원융 (0) | 2014.03.03 |
가릉빈가 (0) | 2014.03.03 |
생주이멸, 성주괴공, 생로병사 (0) | 2014.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