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JS-고시반 자료

불교용어, 한자 훈과 의미

圓鏡 2014. 11. 14. 13:16

 

전탑 / 모전탑

 

  • 模 본뜰 모
    塼 벽돌 전
    塔 탑 탑

 

===========================================================================================================================================================

 

장궤합장 ( 수계식 할 때 )
양쪽 발을 구부리고 양 무릎은 나란히 땅에 닿게 하며, 경(敬)과 예(禮)의 뜻을 나타내는 꿇어 앉는 좌법으로 불상의 좌법에서 볼 수 있다.

 

호궤互跪 합장 ( 跪 = 跪 )

한쪽 무릎을 땅에 대고 또 한쪽 무릎은 세우는 호궤라는 좌법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왼쪽 무릎을 세우는 것이 정식으로 되어 있다. 

 

  •  = 꿇어 앉을 궤
  • 胡 = 인도와 서역을 의미.  오랑캐들이 꿇어 앉는 법.   장궤 = 호궤 ??

=============================================================================================

 

편단우견, 우견편단 /

 

불상이나 승려가 가사를 입은 모습에는 양쪽 어깨를 모두 감싸는 방법과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는 방법이 있다. 이 가운데 앞의 것을 통견(=남방불교, 소승불교의 비구 가사 차림새?)이라고 하고, 뒤의 것을 편단우견이라 부른다.

편단()이란 말 자체가 한쪽 을 드러낸다는 뜻이며, 이 형식에는 비구가 존자()를 공경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한편 활동하기에 편리하기 때문에 이런 옷 차림을 한다.

 

 

  • 웃통 벗을 단, 터질 탄, 어깨를 드러내다. 소매를 걷어 올리다.
  • 偏 치우칠 편( 한쪽 ) 
  • 肩 = 오른쪽 어깨

 

=============================================================================================

 

유원반배 / 고두례 叩頭拜

 

마지막 절을 하고, 끝마무리로 '고두배(叩頭拜)' 또는 '고두례(叩頭禮)' 를 하게 되는데, '고두배'란 삼배에 대한 아쉬움의 표시이며, 지극한 존경심에 대한 여운적 표현이다. 일명 '유원반배(唯願半拜)'라고도 합니다.

마지막 절할 때, 오체투지한 상태에서 이마와 어깨를 들면서(시선은 바닥을 향한 채로) 동시에 손은 합장하여 이마에 댄 후, 다시 손바닥을 바닥에 집고 이마를 바닥에 댄 후 일어선다.

  • 고두叩頭 = 경의를 나타내려고 머리를 조아리는 것.
  • 叩 = 두드릴 고, 조아릴 고
  • 唯願

 

=============================================================================================

 
우요삼잡 右繞三匝  ( 탑돌이 근거 )
 

예배의 대상을 중심으로 하여 오른쪽(시계방향)으로 세 번 돈 뒤에 절을 하는 예경법.

인도에서 고래로부터 존경하는 사람에게 경배를 표시하는 예법이다.

예배의 대상을 향해 오른쪽 어깨를 두고, 시계가 도는 방향으로 세 차례를 돈 뒤에

그의 발에 엎드려 입을 맞춘다.

 

繞 = 두를 요, 두르다. 감싸다.

匝 = 두를 잡, 한 바퀴 빙 돌다.

 

=============================================================================================

 

 발우 = 바리때 = 승려의 식기, 승려의 공양 그릇

뜻은 응기(), 응량기()라 한다.

 

응량기란?, 양에 마땅한 그릇이니, 먹을 만큼의 분량을 담는 그릇이요,

또 남의 공양을 받기에 마땅한 수행과 덕을 갖춘 성현()이 사용하는 그릇이란 뜻이다. 

 

 = 바리때 발

 = 사발 우

=============================================================================================

 

최초 설법장소 ;

녹야원에서 교진여 등 다섯 비구를 대상으로 중도.팔정도.사성제를 설하였다.

이 때 불.법.승 삼보가 형성되었다.

 

최초의 재가 신도 : 야사의 부모( 우바새, 우바이 )

 

최초로 교단의 사부대중이 형성 ; 마하프라자파티의 출가( 최초의 비구니 )

 

최초의 불교사원 ; 죽림정사 - 마가다국의 빔비사라왕이 기증한 것임. ( 왕사성=라자그리하 )

초기 불교사원 ; 기원정사 - 코살라국의 급고독장자가 기증한 것임.( 사위성 )

 

해공제일 수보리는 금강경에 등장하는 인물로서, 기원정사를 기증한 급고독장자의 동생인

수마나의 아들임.( 급고독장자의 조카 )

 

 

 

 

 

'GGJS-고시반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P ( 용어, 단어 )  (0) 2014.11.19
동일 용어  (0) 2014.11.16
조계종 총림사찰  (0) 2014.11.15
조계종 삼보사찰  (0) 2014.11.15
원통전과 관음전의 차이점  (0) 2014.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