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거(安居) 원래 부처님 당시에 비가 많이 오는 우기(雨期)에 벌레들이 밖으로 많이 나와 걸어다니며 알게 모르게 살생을 하게 되므로, 일정한 장소에서 우기를 피해 수행을 하는 것을 '안거(安居)'라고 한다. 이후 중국, 한국, 일본을 비롯한 북방불교로 불교가 전파되었고, 이 곳 지역들은 겨울이 너무 추워추위를 피해 수해을 하는 '동안거(冬安居, 음력10월 15일∼1월 15일)'가 생겨났고, 하안거(夏安居 음력4월15일∼7월 15일)는 부처님 당시처럼 우기 또는 더운 석달 동안을 피해 수행을 하게 되었던 것이다. 안거의 시작을 결제(結制), 안거의 끝을 해제(解制)라고 한다. 안거기간이 끝나면 천하를 주유하며, 선지식(善知識)을 찾아 만행(萬行)에 나서는 것을 운수행각(雲水行脚)이라고 한다. 이 스님들을 운수납자(雲水衲子)라 한다.
'GGJS- 3.신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행 - 석가모니 부처님의 십대제자 (0) | 2013.11.02 |
---|---|
신행 - 여래십호(如來十號) (0) | 2013.11.02 |
신행 - 가사, 장삼 (0) | 2013.11.02 |
신행 - 삭발의 의미 (0) | 2013.11.02 |
신행 - 사부대중, 칠부대중 (0) | 201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