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법회와 기도법회가 중복된 법회 식순( 기도형식으로 진행 )
< 참고 >
참고1. 법회에 참석한 일반 신도들은 목탁집전을 하시는 노전스님과 같이 행동을 취하면 됩니다. 법주(주지스님)는 요령을 사용하며, 노전스님은 목탁을 사용합니다. 일반 신도들은 목탁을 따라가면 됩니다.
참고2. 이런 법회는 일상기도법회 식순(불교의식집 제2장 불공)대로 진행을 하는데, “법문”을
추가하는 것이 다릅니다.
참고3. 아래 식순은 대웅전에 비치된 “불교 의식집(금강정사) 제2장 佛供”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참고4. “법주만” 혹은 “스님만”이라고 표기한 부분은 주지스님 혼자서 혹은 노전스님 혼자서 하는 부분입니다. 이 때 신도들은 합장한 자세로 가만히 있으면 됩니다.
참고5. “불교 의식집”에는 한글과 우측에 한자로 표기되어 있는데, 가끔은 한자부분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석가모니불 정근과 지장보살 염송의 “탄백” 부분이 그러합니다.
금강정사 불교 의식집 제2장 불공 ( 佛 供 ) / 13쪽( 대웅전 법당에 비치된 책자 )
1. 보례진언 ; 스님만
가. 목탁소리(일자목탁)에 따라 신도들은 일어서서 합장한 자세를 취함.
나. 보례진언은 집전하는 노전스님만 한다.
다. 그러다가 마지막 진언 [옴 바아라 믹](3번)에서 세 번 절을 하는데,
두 번은 합장 반배를 세 번째는 큰 절을 하고 자리에 앉는다.(스님에 따라 다름)
2. 천수경(p13) ; 다 함께
3. 발사홍서원(p20) ; 여기까지는 평소 순서대로 빠짐없이 다 함께 한다. 마친 후에는 자리에서 일어선다.
4. 거불(p21) ; 스님만
가. 나무 불타부중 광림법회, ~~~ 할 때마다
나. 일반 신도들은 목탁에 맞추어서 노전스님 따라 세 번 큰 절을 한다.
5. 보소청진언 ; 법주만
6. 정법계진언 ; 스님만
7. 공양게 ; 스님만
마지막 [크신 자비 베푸시어 거둬주소서](3번)은 다 함께 한다.
8. 진언가지 ; 법주만
진언가지의 마지막 부분 [나무 상주시방승]하면, 신도들은 집전스님을 따라 아래 13번 예참(예불)을 시작합니다.
고로, 9번부터 12번까지 법주가 염불을 하고 있을 때, 동시에 신도들은 아래 13번 예참(바라지 스님과 신도들)을 한다.
9. 변식진언 ; 법주만
10. 시감로수진언 ; 법주만
11. 일자수륜관진언 ; 법주만
12. 유해진언 ; 법주만
13. 예참(p23) ; 지심정례공양 삼계도사 ~
14. 보공양진언 ; 다 함께
15. 보회향진언 ; 다 함께
16. 원성취진언 ; 다 함께
17. 보궐진언 ; 다 함께
18. 석가모니불 정근 + 탄백 ; 일요법회, 초하루법회, 호법법회, 관음재일, 기타 기도법회 時
19. 지장보살염송 + 멸정업진언 + 탄백 ; 지장재일에만 상기 18번 대신 함.
석가모니불 정근과 지장보살 정근은 다 함께 한다. 그 날의 법회 성격에 따라서 18번과 19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19번은 지장재일에만 한다. 18번과 19번 탄백은 한문으로 한다.
20. 상단축원1(p26) ; 법주만
마지막 부분 [법계중생 모두함께 마하반야 바라밀, 나무 ~ 석가모니불]은 다 함께 한다.
21. 상단영가축원2(p28) ; 생략
22. 신중권공(p30) ( 생략 )
식순 22번부터 27번까지는 시간관계상 생략한다. 그러나 일반기도법회에서는 한다.
23. 다게 ; 스님만( 생략 )
마지막 [크신자비 베푸시어 거둬주소서](3번)은 다 함께 한다.
24. 예참 ; 다 함께( 생략 )
25. 보공양진언 ; 다 함께( 생략 )
26. 금강심진언 ; 다 함께( 생략 )
27. 화엄경 보현행원품(p31) ; 타 사찰의 경우, 화엄경 약찬게 ; 다 함께( 생략 )
28.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p35) ; 신중단을 바라보고, 다 함께
지장재일인 경우, 여기서 불공을 모두 마치고, 입정 è 법문 è 공지사항 è 인사( 성불하십시요. 법회마침 ) è 이 후에 영가단을 향해서 자리를 재정돈 하고, 각자 3배를 한 후에 다른 의식이 진행된다. 좌우 두 명씩 앞으로 나가서 잔을 올리고, 반배 일배 한 후에 뒤로 돌아서 스님께 반배하고 자리도 돌아온다. ( 영단에도 3배가 원칙이나 시간관계상 1배로 줄인다 ) 이것으로 지장재일 식순은 여기서 마감을 하게 된다. 이하 식순은 다른 재일과 겹친 일요법회 식순이다.
29. 보회향진언 ; 다 함께
30. 원성취진언 ; 다 함께
31. 보궐진언 ; 다 함께
32. 정근(p36) ; 화엄성중 정근 ; 다 함께
33. 축원 ; 법주만
마지막 [법계유정 남김없이 무상불도 이뤄지이다. 나무 마하반야바라밀]은 다 함께 한다.
이어서 상단을 바라보고 합장 반배를 하면서 기도의식을 마치고, 입정, 법문, 공지사항을 한 다음에 법회를 마친다. 끝.
2008.2.10 원경합장
'경전(經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재계 실천덕목 (0) | 2008.09.02 |
---|---|
한글 반야심경 ( 조계종단 ) (0) | 2008.09.01 |
금강정사 한글 반야심경 (0) | 2008.02.23 |
법등일송 (0) | 2007.08.15 |
공양게송 (0) | 200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