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번~81번, 용수, 중관학파 서기 150~250년 무렵에 생존한 남인도 바라문 출신의 논사. 대승불교의 사상적 기반을 확립하여 이후의 불교에 최대의 영향을 끼친 학승. 전설에 의하면 어릴 때 이미 당시의 온갖 학문을 통달했다고 한다. 또 출가하여 소승의 삼장(三藏)을 수학하고, 나중에 히말라야 산 부근에서 한 늙.. GGJS-불교신행(2) 2014.12.07
61번, 62번, 63번, 아비다르마. 아비달마 아비다르마(abhidharma)· 아비담마(abhidhamma)를 음사한 말이다. 그 뜻을 대법(對法,) 으로 번역한다. 단순히 논(論) ·논서의 뜻도 있다. 후일 이것이 논장(論藏)이 된다. 주로 통용되는 이 경우에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정리, 주석, 연구, 요약한 성전으로서의 논서를 가리킨다. 원어의 의미는.. GGJS-불교신행(2) 2014.12.07
49번, 51번, 52번, 십이연기 무명 · 행 · 식 · 명색 · 6입 · 촉 · 수 · 애 · 취 · 유 · 생 · 노사의 12가지 요소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 이 세상에 있어서의 존재는 반드시 그것이 생겨.. GGJS-불교신행(2) 2014.12.07
48번, 팔정도의 분류( 삼학 ) 팔정도 = 사성제 중의 도성제 = 中道 계학 = 계율 * 정語 = 바른 말 * 정業 = 바른 행동 * 정命 = 바른 생계수단 정학 = 선정 * 정精進 = 바른 정진 * 정念 = 바른 알아차림, 사념처 * 정定 = 바른 집중, 초선~사선 혜학 = 지혜 * 정見 ; 바른 견해 * 정思惟 ; 바른 사유 GGJS-불교신행(2) 2014.12.07
43번, 연기법과 무아의 실천적 의미 모든 것은 인과 연을 따라, 모이고 흩어지므로 아트만처럼 '나'라고 할만한 고정불변의 실체가 없음을 깨달아 아집에 사로잡힌 자기중심적 사고와 이기심에서 벗어나 네가 곧 나의 존재 근원임을 깨닫는다. 그리고 너와 나는 동일운명체로서 자타불이임을 깨달아 행복과 불행을 온 세상.. GGJS-불교신행(2) 2014.12.07
37번, 三科說 5온(蘊)ㆍ12처(處)ㆍ18계(界). 일체 만법을 위의 셋으로 분류한 것. 3과(三科)는 초기불교 이래로 불교에서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는 일체법의 3가지 분류체계인 5온(五蘊) · 12처(十二處) · 18계(十八界)를 말한다 GGJS-불교신행(2) 2014.12.07
30번, 오온, 12처, 18계 오온 = 몸과 마음 = 색, + 수, 상, 행, 식 오온이 곧 '나'라는 착각에서 벗어나 공한 것임을 알아야 한다.(반야심경) 6근 = 안이비설신의 = 인식기관 6경 = 색성향미촉법 = 인식대상 6식 = 안이비설신의.식 = 인식작용 12처 = 6근 + 6경 18계 = 6근 + 6경 + 6식 GGJS-불교신행(2) 2014.12.07
23번, 성주괴공 삼라만상이 무상함에 대한 표현들.......... 육신 : 생 - 로 - 병 - 사 정신 : 생 - 주 - 이 - 멸 우주 : 성 - 주 - 괴 - 공 GGJS-불교신행(2) 2014.12.07
18번,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이것을 무상정등각 내지 무상정변지라고 번역하므로 여래십호 중에서 무상사, 정변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아뇩다라삼먁삼보리 = 아뇩다라 + 샴먁 + 삼보리 = 더 이상의 것이 없는 + 바른, 완전한 + 깨달음 GGJS-불교신행(2) 2014.12.07
16번, 여래십호 - 브리태니커 사전 ① 응공(應供 aṛhat) : 아라한(阿羅漢)으로도 음역(音譯)된다. 온갖 번뇌를 끊어서 인간과 천상(天上)의 중생들로부터 마땅히 공양(供養)과 존경을 받을 만한 덕이 있는 자라는 뜻이다. ② 정변지(正遍知 samyaksaṃṇbuddha) : 정진도(正眞道)·등정각(等正覺)·등각(等覺)·정각(正覺).. GGJS-불교신행(2) 2014.12.07